어린이과학동아
- 현장 교육기사 l20250622
- 것입니다. 이번 안곡습지공원 개미 현장교육에서 만났던 개미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마쓰무라밑드리개미, 그물등개미, 주름개미, 털개미, 극동혹개미, 검정왕개미, 흑색패인왕개미, 네눈개미,냄새개미, 곰개미, 갈색발왕개미, 에메리개미 등 12종의 개미종 관찰하고 탐구할 수 있었습니다. 마쓰무라밑드리개미는 하트무늬의 배가 특징이며, 주로 ...
- 청계천! 민물고기들 돌아오다!기사 l20250615
- 많이 살던 곳도 아니었고 10여년 전만해도 수풀에 다 가려진 매우 눈에 띄지 않는 하천이었는데 청계천 복원 공사가 시작되고 적극적으로 ... 하천 위에서 바라다볼때는 잉어와 같은 큰 물고기는 잘보이기도 하지만 눈에 안띄는 물고기들이 훨씬 많았다. 물고기들을 채집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 하고 연구원님들이 잡은 물고기를 직접 만져보 ...
- [우주기자단 미션] 텔레픽스에 다녀오다!!!기사 l20250610
- 만들어서 쏘아 올린 물체인 인공위성을 줄인 말이기도 합니다. 또한, 수성은 관측 시간대를 맞추기 어려워 맨눈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도 알려주셨습니다. 그리고 지구같은 행성과 태양 같은 항성이 모여서 은하가 되고 은하들이 모인 집단에는 은하군과 은하단이 있는데, 은하단이 더 크고 은하군과 은하단이 모여 초은하단(그물형태)이 되며, 그런 ...
- 청계천 탐사 기록 - 청계천엔 누가 살고 있을까?기사 l20250524
- 물속에 들어가 청계천에 서식하는 어루를 채집했습니다 탐사할 때는 여러 가지 도구가 필요합니다. 투망은 그물망을 물에 던져서 헤엄치는 물고기를 잡는 도구입니다. 족대는 수초나 돌 밑에 숨어 있는 물고기를 잡는 데 ... 많은 곳에 삽니다. 피부랑 간으로 숨을 쉴 수 있어서 산소가 부족해도 살 수 있습니다. 미꾸리는 작고 둥글며 눈의 ...
- 청계천 어류 탐사 후기기사 l20250519
- 수 있었는데요. 탐사를 하면서 연구원님들과 박사님들께서 다양한 관찰 팁을 알려주셨습니다. 첫째, 그물로 물고기를 몰 때 발 밑의 자갈과 돌을 최대한 들어올려 돌 아래 물고기들이 안으로 들어가도록 해야하고, ... 달리 갈라져 있습니다. 자갈, 돌이 깔린 중간 깊이 물의 풀숲에서 주로 관찰되었습니다. 3.미꾸라지 자신의 눈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