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나도 모르게 스며드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그런데 드라마나 영화에 사투리를 쓰는 캐릭터가 부정적인 이미지로 많이 ... 영상이나 이미지, 미디어에서 다른 사람과 나눈 대화는 사용자의 생각과 ... 수 있는 거죠. 온종일 스마트폰을 쓰는 우리가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을 ... 영상을 지속적으로 보면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마음이나 배려하는 ... ...
- [기획] 골드수소, 정체를 파악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있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추후 공개할 거라고 밝혔어요. 소식을 들은 사람들은 ‘새 시대의 보물지도’가 탄생할 거라며 기대에 찬 반응을 보였지요 ... 조금만 써도 에너지를 많이 내서 연료로 쓰기 좋지요. 지금 우리가 널리 쓰는 연료인 석유는 태울 때 온실가스●가 많이 나와 지구에 해로운데,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 세계의 길잡이, 디지털 영상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소셜 미디어처럼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어요. 내가 쓰는 지도 앱에 로그인한 다음 특정 장소에 대한 정보를 남기는 거예요. 집 주변 놀이터의 사진을 찍어 다른 사람들에게 공유하거나 맛있게 먹은 음식점에 대한 후기를 남겨 보세요. 정보가 더 많이 쌓일수록 디지털 미디어 세계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단층 / 유해야생동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참새, 집비둘기, 고라니, 멧돼지 등이 있습 니다. 정부는 허락을 받은 사람에 한해, 정해진 기간 에만 유해야생동물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해요. 정부는 ... 살아있을 때는 구조해서 치 료하고 자연으로 돌려보냅니다. 또, 포획할 때 쓰는 도구는 동물에게 큰 고통을 주지 않는 것으로 지정했지요. 만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더 현대 서울 인상주의 전시 관람해 봤어요!기사 l20250511
- 그렸네요. '디에프의 듀케인 분지와 베리니 분지, 흐린날씨'라는 작품으로 사람이 매우 많아요. 여기 '클로드 모네, 수련 컬렉션' 이라는 게 있어서 찍어 ... 세계적 확산으로 좀 널리 퍼진 후의 그림을 담아볼게요. 이젠 배경과 사람, 둘다 들어가는 그림이 많아졌어요. '어머니', '모래 언덕에서', '오팔' ... 것이라고 합니 ...
- 고흥우주항공축제의 현장에 다녀왔습니다!기사 l20250507
- 속도로 하늘을 달릴 때, 어떻게 페어링을 분리할까요? 비밀은 바로 볼트 입니다. (우사인 볼트 말고 조이는 데 쓰는 볼트요.) 볼트에 화약이 있어서 연구원들이 관제탑에서 신호를 주면 볼트 부분이 자폭해서 페어링이 ... 여러분!!!!!!!!!!! 그런데 발사장이 왜 고흥에 있을까요??????? 발사 가능 지역의 조건 매우 까다롭습니다. ...
- [우주 기자단 현장미션]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기술, 그것이 알고 싶다!기사 l20250503
- 총알이 더 빠를까요, 아니면 인공위성이 더 빠를까요? 총알이라고 말한 사람들도 많을건데요, 사실 인공위성은 궤도마다 달르지만 보통 총알보다 2배 ... 엔진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차세대 로켓도 액체 엔진을 쓰는 로켓으로 만들 계획이라 합니다. 그렇지만 고체 엔진도 장점이 있습니다 ... 있습니다. 이 섀도우 캠이 중 ...
- 쓸모 없어 보이는 발명품 Top5기사 l20250503
- 넣어서 파는 돌입니다. 물론 아무 효능이 없습니다. 그냥 돌입니다. 1970년 때에는 이것이 엄청나게 팔려서 만든 사람이 부자가 됐다고 합니다. 심지어 요즘에는 USB 애완용 돌이있는데, 전원을 켜서 아무것도 못합니다. 돌은 ... 들고 한손에는 컵이 있으면 그래도 컵을 한 개 들고 갈 수 있겠지만 넘어지는 것 보다 차라리 그냥 우산을 쓰 ...
- 텔레픽스, 인공위성의 시대를 앞서가다기사 l20250502
-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텔레픽스 연구원분께서는 인공위성에 대해 설명해 주셨습니다. 인공, 사람이 만든 것, 그리고 위성, 행성의 주위를 도는 천체. 즉 합쳐서 인공위성입니다. 다음으로는 위성을 왜 ... 우주에서 새로운 무언가를 발견했거나 행성 등을 조사하고 분석을 할 때 사용 됩니다. 이유 2. 정보를 보내려고 쓰는 용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