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전부터 0과 1의 ‘비트(bit)’를 사용했다. 비트는 ‘바이너리 디지트(binary digit)’ 즉 이진수라는 뜻이다. 윷의 편편한 면, 음양론의 음이나 주역과 태극기의 음효(--), 스무고개의 ‘아니오’를 0, 윷의 둥근 면, 음양론의 양이나 양효(―), 스무고개의 ‘예’를 1로 볼 수 있다.우리말에도 비트는 있다. ...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용량은 저장할 수 있는 비트수로 표시하는데, 비트(bit: binary digit)란 디지털 정보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위로, ${2}^{10}$ 즉 1천24비트를 1K(킬로)로 표시한다. 그리고 1M(메가)는 1K의 1천배, 1G는 1M의 1천배를 뜻한다. 즉 1G(기가)의 메모리는 1K 메모리의 1백만배다.기억소자중에서 D램은 수 ...
- 컴퓨터 문자코드란?과학동아 l1988년 12호
- 정보를 표현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용량의 최소 단위는 1비트(bit, binary digit)이다. 1비트는 0과 1만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데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보통 정보 표현의 8비트를 지정하고, 이를 1바이트(byte)라고 한다. 1바이트는 2의 8제곱이므로 256종류의 정보를 나타낼 .. ...
- 천재의 조종법, 프로그래밍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있으며, 기억의 총 용량은 ${10}^{8}$∼${10}^{15}$ bit (정보량의 최소 단위, binary digit의 약자, 8bit로 문자 하나를 표시함)이다. 인간은 오관을 통해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복잡한 자극의 형태를 식별한다. 또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스스로 결정을 하고, 한가지 방법이 실패할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선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