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창고속의 망원경을 밖으로 끌어내자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쉽지 않다. 좌표계만을 가지고 별들을 천구에서 찾을 때 많은 사람들이 당황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 그러나 실제 밤하늘에서 천체들의 적경과 적위를 따져본 사람들이라면 천체와 천구의 상관관계를 쉽게 익힐 수 있다. 강사로 나선 정호택 부회장은 다년간 경험을 바탕으로 한 천구내에서의 천체 ... ...
X선 천문위성 '아스카' 거대 블랙홀 포착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X-1이 유력한 후보)과 은하 중심에 있는 태양질량의 수십만-수억배나 되는 거대블랙홀이
바로
그것이다. 세계 천문학자들은 이 블랙홀의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전파에 의한 물 메이저 관측으로부터 거리 2천만광년 떨어진 NGC4528에서 태양질량의 3만6천배에 상당하는 거대 블랙홀 ... ...
지렁이 이용, 죽은 땅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땅을 다시 살리고 질 높은 농산물을 만들기 위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 그 대책 중 하나가
바로
토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렁이를 이용하는 것이다.땅 속에 조용히 지내다 밤에만 출현사람들은 보통 지렁이를 밟으면 꿈틀거리는 징그러운 환형동물 또는 낚시미끼 정도의 별 볼일 없는 ... ...
아트미디어 동호회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시삽 박수민씨가 더 내놓고 싶어하는 동호회의 자랑거리는 전혀 다른 것이다.그것은
바로
회원들간의 따뜻한 정이다. 딱딱하고 차갑게 느껴질 수도 있는 컴퓨터를 통해 만났음에도 회원간의 정기적인 교류를 통해 컴퓨터 역시 사람이 만지는 기계라는 것을 서로 일깨워준다는 것. 동호회의 오프라인 ... ...
토성의 새 위성 4형제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통과 현상을 포착한 것(과학동아 95년 7월호 참조).새로 발견된 S/1995 S3은 토성의 F링
바로
바깥 궤도를 돌고 있으며 크기는 약 27㎞ 정도로 매우 작고 어둡다. 이 사진에는 희미한 두 개의 위성이 보이는데 이 가운데 어두운 것이 S/1995 S3이다. 그 왼쪽에 밝게 보이는 위성은 에피메테우스(Epimetheus). 이 ... ...
'과학 기술의 사회사' 출판 70평생 큰 보람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모순 속에서'도 이러한 염원에서 쓴 수상집이다.그동안 나의 학문적 노력의 핵심도
바로
여기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앞줄에 현원복 과학저널리스트(오른쪽 끝) 박택규 건국대 교수(왼쪽 끝), 뒷줄 오른쪽부터 김재관 전 동아일보 문화부장, 송상용 한림대 교수(세번째), 민변기 경희대 교수, ... ...
노트북 PC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불과 1-2년 전만해도 특수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만이 사용하던 노트북 PC를 찾는 사람이 갈수록 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의 원인은 노트북 성능 ... 기능과 확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필요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바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보다 더 큰 무기가 있을까 ... ...
물리- 글씨가 보였다, 안 보였다 요술 유리잔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이보다 더 큰 입사각에서 빛은 모두 반사만 되지요. 이를 전반사라 하는데, 아래 실험이
바로
이 전반사를 이용한 것입니다.물 속에 들어간 못에서부터 나오는 빛 중 코르크 원판이 굴절 부분을 막아주므로 우리가 보는 영역에서는 전반사가 일어나 빛이 물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한 것이지요 ... ...
큰가시고기의 얌체 번식전략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제공한다. 그러나 그걸로 모든 일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교미할 때쯤 눈치를 챈 수컷이 곧
바로
그 혼인선물을 되찾으려고 달려들므로 한바탕 난투극이 벌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기에 성공하여 민첩하고 교활한 수컷이 어수룩한 수컷에게 먹이를 빼앗는 확률은 약 22% 정도 된다고 한다. 그 22%는 ... ...
유전자 조작으로 대장암 걸린 마우스 생산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암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 마우스에 항암제를 투여해 효과를 보면 그것이
바로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을 수 있기 때문.그러나 아직까지는 반드시 그렇지 않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결과. 좀더 연구를 해보아야 밝혀지겠지만 유전공학적으로 암에 걸리게 한 마우스보다는 자연적으로 ... ...
이전
1005
1006
1007
1008
1009
1010
1011
1012
10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