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8
1그루 심으면 1년에 이산화탄소 2.77㎏을 없애는 효과가 있거든요. 나무는 광합성으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뒤 몸에 저장한답니다. 자, 아까 계산한 당신의 탄소발자국에 365를 곱해 1년 동안의 탄소발자국을 구해 보세요. 그런 뒤 소나무를 몇 그루를 심으면 탄소를 없앨 수 있을지 계산해 ... ...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수학동아
l
201008
마찬가지로 태풍에서도 중심으로 갈수록 회전 속도가 빨라지고
공기
가 상승하면서
공기
가 바깥으로 움직인다. 이때 태풍 한가운데 동그란 공간이 생긴다. 따라서 태풍의 눈에서는 구름이 없는 맑은 날씨를 볼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태풍을 알고, 수학을 알면 백전불태! 자동차보다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08
거품을 걷어 내면 유기물을 없앨 수 있다.
공기
방울이 유기물과 만나는 시간이 길수록,
공기
방울이 작아서 전체 표면적이 넓을수록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없앤다.산호를 기르고 싶다면 물속에 칼슘을 넣어 주는 칼슘리액터도 필요하다. 산호가 성장하는 데 칼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칼슘리액터는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08
영하 20℃의 물보다 부피가 무려 16.8%나 크다. 이렇게 얼음이 물보다 가벼운 덕분에 물과
공기
가 맞닿는 곳에 얼음이 떠 있어 단열막이 생긴다. 외부의 찬기가 바다나 호수 아래로 유입되는 걸 막아 생명체들이 무사히 살아남을 수 있다.얼음이 물보다 밀도가 낮아서 생기는 특이한 자연현상도 있다.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08
있는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배기가스가 뿜어내는 힘으로 터빈을 돌려서 더 많은
공기
를 실린더 내에 주입하는 터보차저 방식도 주목받고 있다. 현재 페라리는 1L급 소형 엔진에 터보차저를 얹어 직접분사 방식을 경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손가락으로 딸깍, 빠르게 조작하는 변속기변속기는 ... ...
슝~! 사랑은 비행기를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8
아래쪽보다 바람이 더 빠르게 지나가요. 그런데
공기
의 흐름이 빠르면 압력은 작아지고,
공기
의 흐름이 느리면 압력은 커져요. 이걸 ‘베르누이 원리’라고하지요. 그 결과 압력이 큰 날개 아래쪽에서 압력이 작은 날개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힘인 ‘양력’이 생겨요. 섭섭박사님과 함께 모험을 하는 ... ...
PART 1 모양의 비밀을 밝혀 줘~!
수학동아
l
201007
비행을 통해 알아보자. 날개가 큰 나비는 비교적 느린 속도로 날고, 날개가 작은 나비는
공기
의 저항을 적게 받아빨리 나는 특성이 있다. 나비 날개의 크기와 속도 사이에 음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이다.이처럼 곤충의 생활모습과 생김새의 특성을 밝혀 내는 데 수학의 기하학과 함수의 원리가 ... ...
작은 거품을 만들며 터지는 비눗방울
수학동아
l
201007
작용하는 힘은 거품막을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게 합니다. 그러면 거품은 순간적으로
공기
를 감싸면서 도넛 모양이 됩니다. 표면장력이 작용하면서 거품은 점점 더 작은 도넛 모양이 되어 결국 사라지고 맙니다. 이는 가늘게 흐르는 수도꼭지의 물이 표면장력 때문에 물방울이 되어 떨어져 내리는 ... ...
지구온난화, 엘니뇨에 영향 준다는 근거 없어
과학동아
l
201007
고기압이 발생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한반도 상공에 따뜻한 수증기와 찬 시베리아
공기
가 만나 엄청나게 큰 눈구름을 만든 것이다.올해 1월 4일 서울에 내린 28.5cm라는 기록적인 폭설의 배후에 엘니뇨가 있었다.불규칙적이긴 하지만 동태평양의 수온이 평년보다 올라가는 엘니뇨는 이와 반대 ... ...
‘솔직한 인간’이 밝히는 인간의 실체
과학동아
l
201007
생겨났다. 지구상에 있는 어떤 생물보다도 많은 수의 땀샘을 갖게 된 것이다. 땀은
공기
중으로 빠르게 날아갈수록 효율적으로 동물의 몸을 식힐 수 있다. 그래서 인간은 땀의 증발을 방해하고 몸에 열기를 보존하는 털가죽을 점점 벗어던지게 됐다. 결국 지금처럼 축축한 맨 피부를 드러내게 됐다는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