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동안
한차례
잠깐
짧은시간
짬
d라이브러리
"
잠시
"(으)로 총 1,22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초과학 특강
과학동아
l
199407
본고사도 보는 학생들은 수학능력시험 준비하랴 본고사 준비하랴 무척 바쁠 듯하다. 와중에도
잠시
잠시
운동도 하고 야외에도 나가보는 여유를 가진다면 더욱 알찬 여름이 되지 않을까 ... ...
(1) '외계물체 충돌'이 천지 창조했다
과학동아
l
199407
있다는 것이 지질학자들의 주장이다. 그리고 지자기가 몇천만년에 한번씩 바뀔 때마다
잠시
지자기가 없는 지구가 되면 태양의 강력한 우주선들이 지표면까지 도달해 생물들을 죽인다는 설이다. 보통 때는 지자기가 자기권을 형성하여 태양풍이나 태양의 우주선들은 지구 표면에 직접 들어올 수 ... ...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06
수시로 원자력 관련 시설을 둘러본 데 반해 김대통령은 1993년 원자력 연구소 마당에
잠시
들렀을 뿐이다. 물론 관련 시설 시찰만이 관심도를 대변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김대통령의 원자력관은 아직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다.또 1993년 김시중 과기처장관이 국정감사에서 비핵선언을 재검토해야 ... ...
화학 - 봉지로 열기구 띄운다
과학동아
l
199405
드러나도록 필름통에 물을 조절하면서 넣는다.④ 필름통을 손으로 눌러 바닥면에 붙인다.
잠시
후 필름통은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필름통은 물에 잠겨 부력을 받고 있으나 점토층에 밑바닥이 접착돼 있어 밑에서 위로 향하는 부력을 받지 못해 떠오르지 못합니다.잠수함의 경우 가라앉는 장소는 ... ...
윈도즈용 프로그램 베스트 15
과학동아
l
199405
반드시 암호를 눌러 주어야 한다.삭막한 도시 환경속에서 시름하는 직장인들이
잠시
나마 한가로이 열대어들이 헤엄치는 어항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상쾌해지지 않을까 싶다.Disk at a Glance 1.01○ 자료위치 : HiTEL Win 동호회 자료실 1681번○ 개발자 : Steve Leonard (쉐어웨어)○파일크기 : 12만2천4백94 Byt ...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
과학동아
l
199404
과학자들은 외계의 생물체 탐색을 구체화할 수 있었을 것이다. NASA의 화성탐사 계획
잠시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1960년대 중엽, 화성에 최초로 탐사선을 보내려고 바쁘게 돌아가던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정황을 생각해보자.그곳에 근무하던 생물학자들에게 부여된 사명은 화성에 안착한 ... ...
1 생물의 모든 변화현상 매개하는 생명의 근본
과학동아
l
199404
효소의 모양은 효소가 촉매로서 효율적인 기능을 하기 위하여 반응물질(기질)을
잠시
한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고, 실제 촉매반응에 관여하는 활성부위 아미노산들이 적절한 위치에 놓이도록 도와주며, 반응속도의 조절 부위를 가지게 되며, 조효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효소 내부에 조효소가 ... ...
이동 컴퓨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04
과학문명의 장을 반 쯤은 열어놓은 것이다.장미빛 만은 아닌 미래의 이동컴퓨팅이제
잠시
미래의 환상에서 벗어나 과연 이러한 미래 이동 컴퓨팅의 세계가 좋기만 한 것 인지 살펴보기로 하자. 우리는 죠지 오웰의 '1984'라는 소설을 기억한다. 빅 브라더에 의해 끊임없이 일거수 일투족, 심지어는 ... ...
물리- 증기보트 띄우기
과학동아
l
199404
불을 붙인다.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고, 다소 무겁지만 양초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잠시
후 보트는 '따다닥' 소리를 내고 물살을 가르며 쏜살같이 달려 나간다. 입 안에 화상입지 않도록 조심해야이 실험은 위험한 공구도 있고 불을 사용하는 실험이므로 학생들은 꼭 선생님이나 부모님과 같이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02
12회 이상이나 반복해서 일어나고 그 때마다 여러 모양의 불꽃이 돌발적으로 생겼고
잠시
후 평상으로 되돌아 왔다.…"이 기록을 찾아낸 하퉁이라는 천문학자는 이 충돌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생각되는 크레이터를 찾기에 열중해 동경 1백3도, 북위 36도에 위치하는 지름 20km '졸다노 부루노'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