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과거
태고
예전
옛적
d라이브러리
"
지난날
"(으)로 총 1,8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
4월 5일이 무슨 날인지 모르는 친구들은 없겠지요? 바로 나무 심는 날인‘식목일’입니다. 매년 학교나 동네 뒷산에서 묘목을 심었던 기억이 있을 거예요. 그렇다면 왜 이렇게 날짜까지 정해 나무를 심는 걸까요? 그냥 보기 좋으라고 심는 걸까요? 아니랍니다. 나무는 우리 인간뿐 아니라 지구의 모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07
내년부터 사용할 새로운 1만원짜리 지폐가 모습을 드러냈다. 올해 1월부터 사용된 5000원짜리 지폐처럼 크기가 작아지고 그림도 달라졌다. 인물초상은 세종대왕 그대로지만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와 용비어천가를 새로 포함시켰고 배경으로 창호무늬를 사용했다.뒷면에 있던 경회루는 사라지고 국 ... ...
INTRO 질주하는 10대의 성, 안내 표지판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607
이팔청춘에 못할 건 없다?청소년이 성관계를 갖는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국가청소년위원회(위원장 최영희)가 전국 1만 3934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2005년 청소년 유해환경 종합실태조사’를 보면 4.5%(중학생 2.2%, 고등학생 7%)가 육체적인 성관계를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 ...
공포가 즐거운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0607
하늘로 솟구치는가 싶더니 바로 땅으로 곤두박질친다. 다시 솟아오르더니 이번엔 허공을 한 바퀴 휘돌아 내린다. 야호~롤러코스터는 17세기 중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눈썰매에서 시작됐다. 나무로 50° 정도의 경사를 만들고 그 위를 얼음으로 덮은 미끄럼틀이 최초의 롤러코스터였다.러시아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07
대부분의 과학분야가 마찬가지지만 20세기 이전까지 천문학은 특히나 여성의 접근이 어려웠다. 그럼에도 여성의 진출을 선도했던 두 명의 과학자가 있었다.각각 유럽과 미국에서 활동한 두 여성은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천문학에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225 년 전, 천왕성을 발견한 윌리엄 허셜은 많 ... ...
월드컵 응원에는 북소리가 최고
과학동아
l
200606
많은 사람들은 집에 비디오나 DVD가 있는데도 영화관이나 공연장을 직접 찾는다. 사물놀이 공연을 처음 보는 외국인들도 곧 함께 어울려 춤을 춘다. 월드컵 경기를 보다 응원 북소리를 들으면 나도 모르게 주위 사람들과 하나가 된 느낌이 든다.여기엔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 영화관 스크린 뒤의 대 ... ...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누구?
과학동아
l
200606
우주인 열풍이 불고 있다. 한국 최초의 우주인을 선발하는 온라인 공모(www.woojuro.or.kr)에 신청자가 쇄도하고 있다. 지난 4월 21일 공모 첫날 2000명을 훌쩍 넘더니 나흘 만에 1만명을 돌파했다. 2008년 4월 탄생할 첫 우주인이 누가 될지에 벌써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우주인이 되면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06
소련시절 영화 한편 소개한다. 제목은 ‘쁘르제발스키’다. 1951년 모스필름이 제작했다. 주인공인 ‘쁘르제발스키’는 10월 혁명 전 러시아제국에 실존했던 탐험가로 1867년 동시베리아 총독의 명을 받아 연해주 탐험을 강행했다.그의 눈에 비친 연해주는 신비와 풍요로움이 넘치는 신천지 그 자체 ... ...
5. 뼈와 근육 줄어드는 아수라장
과학동아
l
200606
6月 12日_ 1주일 만에 우주멀미 사라져달에 도착한지 벌써 1주일이 됐건만 아직 모든 게 부자연스럽다. 지구에서 이미 무중력 훈련을 했지만 단지 짧은 무중력 체험이었을 뿐이다. 우주월드컵조직위원회는 반듯이 누운 뒤 머리 쪽을 약 6° 아래로 기울인 자세에서 사이클 운동을 하도록 권장했다. 이 ... ...
3. 100m 달리는데 33초 이상 걸려야
과학동아
l
200606
소행성에서 열린 준결승. 모든 선수들은 경보를 하듯 뒤뚱뒤뚱 움직인다. 한국의 한 선수가 갑자기 공을 세게 차며 강력한 슛을 날린다. 이 공을 받으려고 점프하던 상대 골키퍼는 소행성을 떠난다. 나머지 선수들은 이 모습을 보면서 황당해 한다. 우주월드컵조직위원회가 소행성 ‘에로스’(사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