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d라이브러리
"
관찰
"(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밀린코비치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유전 및 진화학과 교수는 무려 4년 동안 제 피부를
관찰
한 결과 ‘세포 자동자’라는 수학적 원리와 비슷한 과정으로 비늘 색을 바꾼다고 가설을 세우고 비늘 색을 바꾸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어요. 세포 자동자가 뭐냐고요? 도마뱀은 살아있는 세포 자동자세포 ... ...
질서┃우주의 태초···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올라갈 수 있는 건 우주의 탄생(0초) 후 약 38만 년이 흐른 시점까지다. 이때부터 우리가
관찰
할 수 있는 빛이 우주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했기 때문이다.그 사이(0초~38만 년)에 벌어진 일을 알기 위해 과학자들은 상상력을 동원했다. 동시에 현재 지구에는 없는 상상 속의 입자와 그것들의 물리 현상을 ... ...
[과학]행성 만드는 젊은 별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곳에 있어요.연구팀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고성능 전파망원경 ALMA로 DM타우 별을
관찰
한 결과, 주변에 먼지 고리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태양계도 약 46억 년 전 태양 주변의 먼지와 가스 구름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연구팀은 DM타우 주변 먼지 고리에 집중했지요. DM타우 별 주변에는 먼지 ... ...
교육 로봇은 어떻게 어린이와 친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관찰
해서 힌트를 얻어요. 사람이 대화를 나눌 때 어떤 표정, 몸짓, 말투 등을 쓰는지 잘
관찰
하고 이를 학습해요. 이를 토대로 대화의 맥락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반응을 한답니다. ●정 : 박사님은 어떤 로봇을 만드셨나요?●박 : 어린이를 위한 영어 교육 로봇 ‘테가’예요. 테가와 대화를 ... ...
신비┃우주의 빈자리는 무엇으로 차있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암흑물질의 중력에 의해 은하의 빛이 지구로 똑바로 오지 못하고 굴절되는 현상을
관찰
해 암흑물질의 분포를 3차원으로 나타냈다. 암흑물질은 거대한 구름 형상으로 우주 전체에 균일하게 퍼져 있었다. 이 안에 있는 보통물질은 암흑물질의 강한 중력 작용에 의해 중심부로 몰리면서 그곳에 쌓인다.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파 프롬 홈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라본테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동물학과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225종의 동물들을
관찰
해 벽을 타고 오르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기하학과 수학의 관점으로 찾아봤어. 그 결과 찾아낸 필수 조건은 아래와 같아. 먼저 첫 번째 조건에 대해 연구하려고 몸 크기, 몸무게와 발바닥 크기의 ... ...
탐험┃미국, 더 멀리, 더 많은 것을 보내기 위해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2006년 화성 궤도에 안착한 화성정찰위성(MRO)과 2014년 도착한 메이븐도 화성 대기를
관찰
하는 등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미국은 2020년 7월 새로운 화성 탐사 로봇 마스 2020을 보낼 계획이다. 마스 2020은 화성 표면에서 채취한 시료를 보관했다가 뒤이어 도착하는 회수선에 시료를 실어 보내는 임무를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이해해야한다. 타임머신을 만들어 시간을 거슬러 올라서 지구 최초의 생명체를
관찰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생명의 근원이라는 무모하면서도 어려운 질문에 완벽히 대답하는 건 영원히 불가능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과학적인 접근법과 실험을 통해서 수많은 가설을 세우며 실험을 통해서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생명체가 생존하는 데 어떤 이점을 줬을까. 왜 현재 생명체에서는 과거와 같은 염기쌍이
관찰
되지 않을까. 그 염기쌍은 어떻게 사라졌을까. 그리고 가장 중요한 질문이 남았다. 최초의 생명체도 지금처럼 염기쌍이 두 종류만 있었을까. 스티븐 베너 미국 응용분자진화재단(FfAME) 박사는 여기에 강한 ... ...
[수학 THE LOVE] 수학에 지친 그대에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제곱해서 더한 양은 긴 변을 제곱한 것과 같다는 사실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과학적
관찰
중의 하나입니다. 세상의 패턴을 파악해 나가는 과정이죠. 과학과 수학의 접점에 대한 직관을 키워줄 콘텐츠는 많습니다. 과학교양서에도 이런 내용이 자주 등장하죠. 다만 독자가 어렵다고 느낄까봐 수학을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