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7년엔 더욱 풍성한 혜택이!생태 탐사 포트폴리오1년간 올린 탐사기록을 다운받을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됩니다. 나만의 생태 탐사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보세요~!지사탐 강좌지사탐 대원과 생태 전문가의 또 다른 만남! 지구사랑탐사대 정기 강좌에서 생생한 생태 이야기를 들려 드립니다.특별 탐사 ... ...
- 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구팀은 닭의 유전자 중, 비골이 작아지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의 기능을 떨어트려 봤어요. 그 결과 배아의 비골이 길어지면서 공룡과 비슷한 다리가 만들어졌지요.왜 이런 연구를 할까요? 조류는 공룡의 후손으로 알려졌어요. 따라서 조류인 닭이 잃어버린 유전적 특징을 되살려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붙었다. 연구팀은 광중합체에 간섭패턴을 쪼여 잠자리 눈처럼 2차원으로 배열된 렌즈 기능을 하도록 설계했다. 이때 단위면적 당 렌즈의 개수가 많을수록 홀로그래피 영상의 해상도는 높아진다. 그리고는 공간광변조기(SLM)로 씨스루 스크린의 앞이나 뒤로 상을 띄웠다. 그 결과 3D영상의 입체감과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CES 2017에서 최고 혁신상을 받은 슬립넘버 사의 인체공학침대 ‘슬립넘버 360’도 센서의 기능이 두드러졌다(앞 쪽 ➌). 침대 매트리스에 있는 압력센서가 사용자가 어디에 어떤 자세로 누워있는지 감지하고,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코를 골거나 뒤척이는 정도를 알아낸다. 이런 정보를 블루투스를 ... ...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기능을 독특한 개방형 알고리즘을 이용해 해결했다.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합의의 기능을 분산해 나눠주는 방식이다. 블록체인의 핵심은 ‘신뢰 네트워크’예를 들어 보자. 블록체인의 가능성을 처음으로 증명한 ‘비트코인’의 경우,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이라는 과정을 통해 신뢰를 ...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만들 수 있는 개발도구와 각종 센서, 등을 말한다. 아두이노를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와 기능이 있는 시계를 만들 수 있다.#올해는 윤초 덕분에 시간이 1초 늘었어. 이제 어과동친구들이라면 ‘에게~, 겨우 1초?’라는 생각은 하지않겠지? 2017년에는 1초, 1초를 소중하게 사용해서 멋진 한 해를 만들어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비용으로 정확하게 병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기능영상이나 대사영상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결합되거나, 영상을 찍는 동시에 실시간으로 병변을 치료하는 영상-치료 융합기기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다.지금은 진단을 내릴 때 장기 이름에 병리학적 변화를 반영하는 설명을 붙인다. 하지만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안정적인 3진법 인버터를 만들었다. 인버터는 논리에 따라 0을 1로, 1을 0으로 바꾸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 복잡한 연산을 수행할 집적회로를 만드는 기본 요소다. 3진 인버터는 0을 2로, 1을 1로, 2를 0으로 바꾼다. 김 교수는 “공장에서 쓰고 있는 안정적인 기술로 3진법 집적회로를 구현한 것”이라며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로봇을 넣고 생체내에서 직접 조종해 보는 동물 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또 용도별로 다른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 로봇도 만들고 있다. 예컨대 원하는 위치에 도착한 뒤 약물이 포장된 물질을 내려놓고 배출되는 로봇이나, 목적지에 도착한 뒤 녹아 없어지는 로봇 등이다.유 교수는 “기존에는 ... ...
- [수학뉴스] 물고기 구피의 수학 실력은 후천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구피는 물고기 수를 구분하는 능력이 높다는 겁니다.이 결과는 동물은 상황에 따라 인지 기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를 따릅니다.연구는 ‘행동생태학과 사회생물학’ 1월호에 실렸습니다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