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초"(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해외생물소재허브센터는 중국에서 온 모든 식물에 대해 항염, 항산화, 살충 반응과 같은 기초 활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약 30종에서 신약 후보가 될 수 있는 물질을 찾아냈고 3종은 특허 출원 중에 있다. 이미 특허를 받은 물질도 있다. 장병두영(Elaeocarpus petiolatus)이라는 식물에서 찾아낸 ... ...
- 천문학자가 되고 싶다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1학년 때 한 과목, 2학년 때 한 과목 정도 ‘맛배기 천문학’을 가르치긴 하지만, 아직 기초가 부족한 학생들에게 고도의 물리현상인 천문학을 가르치는 것은 시작부터 어 불성설이다. 내 책을 읽은 고등학생들로부터 종종 문의 메일을 받는다. “저는 과학을 좋아하진 않는데 천문학은 정말 좋아요. ... ...
- 교통사고 사망자 ‘0’에 도전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발생한다.정면추돌, 측면추돌, 교차로 사고와 같은 유형의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기초 기술은 이미 대부분 개발돼 있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기술을 사용하면 정면추돌로 인한 교통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차체의 레이저나 적외선 센서가 장애물이 가까워졌다는 정보를 알아내면 차량 내 ... ...
- 서경대 컴퓨터과학과 - 컴퓨터과학은 서경대가 진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C++, Java(자바) 등 프로그래밍과 웹 개발, 앱 개발 분야와 이산수학, 확률, 통계 등 수학 기초 분야, 그리고 어셈블리 언어, 컴퓨터 구조 등 하드웨어 관련 분야, 알고리즘,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네트워크, 소프트웨어공학 등 컴퓨터 과학 주요 분야를 배운다. 프로젝트 교육 강화를 위해 199 ... ...
- 수학콘서트의 재미는 우리에게 맡겨라! 아빠와 아들수학동아 l2012년 12호
-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개그맨 지망생들이 많이 모인 대학로 극단에 찾아갔어요. 극단에서 기초부터 연기도 배우고, 공채 시험을 준비했어요. 오랫동안 하던 씨름을 포기하고 준비할 수 있었던 건 개그맨이 정말 되고 싶었던 마음 때문이었어요.그럼, 개그맨을 준비하면서 힘들었던 적은요?김수영 : ...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수학동아 l2012년 12호
- 평가를 받고 있다.세종대왕(1397~1450)은 조선시대 4대 왕으로, 수학을 국가 발전을 위한 기초 학문으로 여겼다.음악으로 도량형을 정비하다세종대왕은 밤새 수학공부를 할 만큼 수학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다. 사실 조선시대에는 수학을 무시하는 풍토가 짙게 깔려 있었다. 왕족은 물론 양반들도 수학은 ... ...
- PART 1. 노벨 화학상에서 블루케미스트리까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블루케미스트리로 나아가는 데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의 업적을 빼놓고 생각할 수 없다. 기초화학부터 환경과 에너지, 건강까지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의 주요 업적을 한눈에 정리했다(각 수상자 설명에서 별도 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블루케미스트리와의 연관성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성공은 ···· 기다림에서 나온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풍토는 대개 기다려주지 않는데 KIST는 달랐어요. 저를 데려오신 신희섭 박사님(지금은 기초과학연구원으로 옮김)도 제가 묵묵히 갈 수 있도록 정말 많이 도와주셨어요. 신 박사님이 안계셨다면 이렇게 못했을 겁니다.”뇌의 시녀, 100년만에 입을 열다이 단장은 뇌에서 ‘글리아’라고 하는 ... ...
- 생명수학을 만나다! 건국대 수학과 정은옥 교수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설명한 생물학, 의학, 생리학은 물론이고 유체 역학, 물리학, 컴퓨터 프로그래밍까지 기초 지식정도는 모두 잘 알아야 해요. 하지만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연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답니다.그래서 전 생명수학이 ‘소통의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수학과 다른 학문을, ...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과학동아 l2012년 11호
- 997년 인류는 ‘순간 이동’의 가장 기초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양자 전송’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2003년 양자 전송의 거리는 800m로 늘어났다가 최근에는 143km까지 연장됐다. 앞으로 대기권 바깥의 인공위성으로도 양자 전송 실험을 할 계획이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도 양자 전송과 관계가 깊다.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