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꽁지
뒤꽁무니
꽁무니
숨바꼭질
술래잡기
태그
술레잡기
d라이브러리
"
꼬리
"(으)로 총 1,495건 검색되었습니다.
3. 스스로 충돌 피하고 고장 대처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없다는 단점을 지닌다.신형 B-2 폭격기에는 엔진의 공기흡입구를 위쪽으로 옮기고 수직
꼬리
날개를 없애는 등 기체 형상을 바꿔 전파의 반사율을 낮추는 방법과, 기체의 표면에 특수한 도료를 사용하거나 복합재료로 기체를 만들어 레이더 전파의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 ...
2. 현재 우리은하는 충돌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억년 전 우리은하와 직접 충돌하는 일을 가까스로 모면했을 때 대마젤란은하에서 떼어진
꼬리
라는 설명이 가장 유력하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대마젤란은하와 우리은하는 다시 충돌해 결국 하나의 은하로 합병될지도 모른다.우리은하 대충돌의 시나리오우리은하의 형제 안드로메다은하는 현재 ... ...
2. 헬기나 제트기로 자유자재의 변신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CRW 방식에서는 항공기의 비행 방향을 색다르게 조종한다. 물론 고속으로 비행할 때는
꼬리
부분의 방향타로 항공기의 방향을 조종한다.하지만 저속으로 회전익 비행을 할 때는 방향타에 의한 방향조종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후방의 배기 노즐 근처에는 양옆으로 또다른 노즐이 있다. 이들 노즐을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천문단위)로 계산된 다시 돌아오지 않는 혜성이다
꼬리
의 겉보기 길이는 수도에 달했으며
꼬리
모양의 변화가 컸던 것으로 유명하다 결정의 하나 실제로 결정은 이상적인 결정과는 달리 약간 불완전성이 있는데, X선의 반사세기 측정 등에 의해 결정 내부의 넓은 부위에 걸쳐 원자배열이 ... ...
블랙홀에 대한 결정적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우리은하 중심에 숨어있던 거대블랙홀의
꼬리
가 밟혔다. ‘네이처’ 10월 17일자에는 우리은하 중심에 거대블랙홀이 존재한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를 포착했다는 내용의 논문이 발표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국제천문학자팀이 10년 동안 고생 끝에 거둔 성과다 ... ...
고대인의 필기노트, 죽간과 목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흔한 쓰임새는 물건을 멀리 보낼 때, 보내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을 나타내기 위해 매다는
꼬리
표다. 이런 쓰임새의 목간에는 끈으로 묶을 수 있도록 위쪽 좌우에 V자 홈이 파져있고 구멍이 뚫려 있는 것도 있다. 그 외 신분을 나타내거나 출신지를 나타내는 명찰로도 목간이 쓰였다.목간은 비록 ... ...
천마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넓게 뻗었으며 벌린 입에서 긴 혀를 내밀고 있다. 목덜미의 갈기와 힘차게 뻗쳐 올린
꼬리
털은 바람에 휘날린다. 날개가 있고 몸뚱이의 군데군데에는 반달 모양의 문양이 돋아 있다. 힘차게 하늘을 달리는 천마가 살아 움직이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원숙한 그림 솜씨가 돋보인다.이 천마도는 ... ...
바람개비와 앵무새 종이공작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균형의 미학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앵무새의 무게중심은 긴
꼬리
덕분에 몸통과
꼬리
의 중간쯤에, 그리고 발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따라서 발부분을 받쳐주면 앵무새의 무게중심이 그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균형을 쉽게 이룰 수 있다. 만약 무게중심이 발보다 높이 있으면 균형을 이루지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1858년 6월 2일에 도나티(Donati)가 발견한 혜성 1859년 9월 29일에 근일점을 통과했으며
꼬리
의 길이는 50°에 달했다주기는 약 1900년으로 추산되었다1926~미국의 물리학자 1946년에 케이스 공과대학 졸업, 1949년에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같은 해 미시건 대학 교수, 1959년 캘리포니아 대학 ... ...
태양계 탄생 비밀 간직한 화석 혜성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증발하면서 지름 약 1백만km나 되는 거대한 구름인 코마와 무려 약 1억km나 되는 길다란
꼬리
를 만든다. 그야말로 하늘의 불청객으로 ‘혜성처럼’ 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탐사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혜성은 초기물질을 간직한 채 태양을 처음 방문하는 장주기 혜성이다. 하지만 장주기 혜성의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