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은것"(으)로 총 1,530건 검색되었습니다.
-
- 조선조류열전과학동아 l2008년 01호
- 1910년 일제는 조선의 국권을 빼앗은 뒤 창덕궁의 이름을 창경원으로 바꾸고 벚꽃나무를 잔뜩 심었다. 조선왕조가 27대 519년만에 멸망하자 비운의 임금 순종은 오락장으로 변한 창덕궁에 머물며 하릴없이 동물원을 오갔다. 일본이 수탈해간 것은 비단 쌀과 광물자원뿐이 아니었다. 이들은 조선을 누 ... ...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8호
- “뭐…, 뭐라고? 한국에서 우주인을 뽑았다고? 허걱!” 나는 지구에서 50광년 떨어진 RX-2443B 행성의 첩보원 스틸로. 한국의 첨단 과학기술을 빼내는 것이 나의 임무지. 하지만 지구를 정복하려는 붉은별 군단의 나쁜 짓을 막느라고 아직 빼낸 기술이 하나도 없어. 그런데! 한국에서 우주인을 뽑았다고 ... ...
-
- 세계 7대 불가사의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5호
- 최근‘세계 신 7대 불가사의 재단’이라는 민간단체가 투표를 통해 새로운 7대 불가사의를 선정했어요. ▲중국의 만리장성 ▲페루의 마추피추 ▲멕시코의 마야 유적지▲로마의 콜로세움 ▲인도의 타지마할 ▲요르단의 고대도시 페트라 ▲브라질의 거대 예수상이에요. 인터넷과 전화로 진행된 이 ... ...
-
- 나뭇잎에 물방울꽃이 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3호
- 식물은 뿌리에서 빨아들인 물과 잎에서 받아들인 이산화탄소, 그리고 햇빛을 이용해 영양분을 만듭니다. 이 때 남은 물은 수증기가 되어 잎의 기공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 현상을 증산이라고 하지요. 만일 뿌리에서 빨아들이는 물의 양이 증산 작용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보다 더 많으면 어떻게 될까 ... ...
-
- 풍덩~ 바다목장에 놀러와!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3호
- 내 이름은 우러기!지난밤 엄청나게 휘몰아친 바람과 거센 파도 때문에 잠시 정신을 잃었어. 그런데 이게 웬일? 눈을 떠 보니 이상한 곳에 있지 뭐야? 우리 집을 찾으려고 계속 헤엄을 쳤는데 이리가도 벽, 저리가도 벽이었어. 도대체 여기는 어디야? 누가 우리 집 좀 찾아 줘! 제발~!우리는그 이름도 ... ...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과학동아 l2007년 12호
- “인간의 치명적인 약점은 세 끼 밥을 먹어야 살 수 있다는 것이다.”중국의 대문호 루쉰(魯迅)의 말대로 아무리 고상한 사람도 시장기가 돌면 책을 덮고 먹을 것을 찾아 나서기 마련이다. 그러나 생각을 달리해보면 끼니 때만 잠깐 먹는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순수하게 음식을 씹는 데만 걸리는 ... ...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3, 2, 1, 0. 발사!”1992년 8월 11일 프랑스령 남미 기아나 쿠루기지에서 한국의 우리별 1호가 아리안로켓에 실려 우주로 떠났다. 48.6kg짜리 소형위성 우리별은 발사 후 23분 36초 만에 로켓에서 정상적으로 분리됐고 12시간 뒤 대전 인공위성연구센터 지상국에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첫 신호를 보내왔 ... ...
-
- 거꾸로 돌아가는 계량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뻥~이요! 뻥!”땅을 흔드는 우렁찬 소리에 이은 폭발음! 도와 달라는 전화를 받고 시골장터에 들른 닥터고글은 전쟁이라도 났나 싶어 깜짝 놀랐다. 알고 보니 정겨운 뻥튀기 장수. 안심하고 다시 먹거리에 집중하려는 순간, 또다시 들려오는 소리.“이 뻥쟁이 허영감! 그런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 ... ...
-
-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9호
- 과거 속으로1969년 5월 1일최초의 인터넷‘아르파넷’개통핵폭탄이 떨어져도 무사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미국에 만들 수 없을까? 아르파넷은 이런 목적으로 처음 만들어졌다. 그러나 사람들이 이네트워크를 이용해 정보나 이메일을 주고받는 일이 늘어나면서 아르파넷은 인터넷으로 발전했고, 현재 ... ...
-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빠르고, 날카롭고, 분명하게! 우주에서 약한 전파가 마치 맥박처럼 1.34초에 한번씩 규칙적으로 오는 것이 아닌가.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67년 우주 전파신호가 영국 케임브리지대 앤터니 휴이시 교수의 지도를 받던 대학원생 조슬린 벨의 눈길을 끌었다.휴이시 교수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