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간
기미
테인
tarsus
d라이브러리
"
다소
"(으)로 총 1,34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용하긴 쉬워도 이해하긴 어려운 멀티태스킹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되어 있는 부분이 바로 시간 할당을 하는 곳이다. 여기에 적힌 숫자를 보는 요령은
다소
복잡할지 모르지만 따지고 보면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다. 우선 중요한것은 여기에 적힌 숫자가 절대적인 숫자가 아니라 상대적인 숫자라는 것이다. 즉 포그라운드란에 100을 적었건 50을 적었건 현재 작업을 ... ...
PART 2. 그래픽 소프트웨어 4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그리고 한글 2.1 자료와의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전 드로우에서 작업한 그림을
다소
불편하긴 하지만 한글에서 불러올 수 있다. 도스용 대신 윈도우용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한다면 클립보드를 이용해 손쉽게 그림을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윈도우 3.1의 기능인 OLE는 지원하지 않는다. 프린터는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외에 맨처음으로 대한항공에서 에어버스를 도입해 항공기의 성능을 보증했다는 점이다.
다소
브레게사는 소형 민간기인 미스테르팔콘기를 제외하고 미라주 2000, 4000 등 전투기 생산을 주도했으며 최신예 전투기인 라팔기를 최근 개발해 공군에 배치했다. 이외에도 헬리콥터나 항공기엔진, 경비행기 ... ...
생물- 인체라는 에너지 공장 유지하는 자동시스템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영향도 받지 않는다. 체온이란 하루 중에도 여러 차례 변화하는데, 오전 6-7 시경에는
다소
낮고 오후 늦게(6시-7시경)는 높아서 그 차가 1℃가량이다. 연령도 관계가 있어서 어린아이는 어른보다 1℃ 가량 높다. 정신적인 긴장이 계속되었을 때도 체온의 변화가 나타난다. 그리고 운동 등으로 인해 몸이 ...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수학적인 모델로 해석하는 사고방식에 젖어 있는 보통사람을 위해 풍수적인 관점을,
다소
무리가 따르더라도 생태적으로 해석할 수 밖에 없다.지맥이 연결된다는 것은 생산자인 식물의 서식지가 연결된 것이며 소비자인 동물의 이동통로가 연결된 것이다. 몸집이 큰 동물일수록 넓은 행동권 지역을 ... ...
당신을 '컴퓨터 도사'로 만드는 OLE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데이터와 동적으로 연결된 서버측 프로그램과 데이터 파일을 기억하고 있어야만 한다.
다소
불편해 보이기는 하지만 서버측의 내용을 바꾸기만 한다면 그 변화는 클라이언트측에 자동으로 반영되므로 도스 프로그램처럼 다시 자료 교환을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그러나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4시간 48분만에 백령도에 도착했다. 일반 여객선(새 경기호)보다 2배 이상 빨리 왔는데도
다소
지루한 표정들이었다.근처 식당에서 좀 뒤늦은 식사시간에 점심을 들고 백령도 제일의 번화가인 진촌리에 도착, 숙소에 여장을 풀었다. 각자 방을 배정받기가 바쁘게 원병오 교수의 사전연락으로 면사무소 ... ...
개항 한세기─시대별로 본 한반도의 대표적 귀화식물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등이 있다.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등골나물 골등골나물 벌등골나물과 매우 유사하나 키가
다소
작으며 줄기가 총생(한곳에서 많이 남)한다. 꽃색깔이 흰 이 식물이 워커힐과 남산의 한 모퉁이에 한두 포기 보이더니 지금은 남산에서 가장 흔한 풀이 돼버렸고, 올림픽공원은 물론 시내 곳곳과 남한산성 ... ...
지구과학- 1회 방전량은 중규모 발전소의 발전량에 해당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마찰되며 전하가 분리된다. (그림 4)의 (가)와 같이 우박에 얼음결정이 충돌하면 온도가
다소
낮은 얼음결정은 +전기를, 우박은 -전기를 갖는다. (나)와 같이 과냉각 물방울이 우박에 충돌하는 경우에는 얼어붙은 얼음조각은 +전기를, 우박은 -전기를 갖는다. (다)와 같이 큰 물방울과 작은 물방울이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일컫는다.이러한 자외선과 가시광선은 지구의 대기권에 도달되면 오존(${O}_{3}$)층에 의해
다소
흡수 되므로 지구상에 도달되는 태양광의 대부분은 주로 가시광선과 적외선에 의한 기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중 UV-C는 오존층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수되어 지구표면에 도달되기 전에 차단된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