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불과의 전쟁에 나선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어도일체형(魚道一體型) 사방댐도 계곡물이 잘 흐르도록 설치하는 댐 모양의 시설이다.
밑
에 입구가 있어 물고기가 지나갈 수 있는 친환경적 구조물이다.국립산림과학원 복원연구실 임주훈 박사는 “지난 2000년 발생한 삼척 산불 지역에 이같은 공법을 시범 도입했으며, 이번 양양 산불 지역에 본격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의한 형태 인식과정이 있다. 원 위에서 빛이 비치고 있다면 원을 볼록한 형태로, 반대로
밑
에서 비치고 있다면 오목한 형태로 인식한다. 이것은 우리 뇌가 자연에서처럼 광원이 하나라는 가정을 하기 때문에 비롯된다. 착시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현재까지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은 ‘학습에 ... ...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거대한 석상 하나가 나타났다. 거대한 석상은 커다란 네 개의 망치를 들고 있었고 그
밑
에는 네 개의 갈림길이 있었다. 석상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써 있었다. ‘망치에는 석상의 여러 부분이 새겨져 있다. 실제 석상의 부분과 다르게 새겨져 있는 망치 아래 문을 통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망치에 ... ...
5. 디자인은 대화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때문. 오렌지나 레몬을 반으로 잘라 위에 놓고 누르면서 돌려주면 과즙이 흘러내리며
밑
의 뾰족한 꼭지에서 아래로 떨어진다. 쓰고 난 과즙기는 물로 한번 씻어주면 된다.미국 노스웨스턴대의 심리학자 도널드 노먼 교수는 쥬시 살리프를 지난해 출간한 그의 책 ‘감성적 디자인’의 표지사진으로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수술기구를 넣어 환부를 수술한다.복강 내의 담낭을 절제한다고 가정하자. 담낭은 간
밑
에 붙어 있으며 이곳에 병이 생기면 잘라내야 한다. 과거에는 상복부를 약 20cm 이상 길게 절개한 뒤 복벽과 간을 차례로 당기고 손을 넣어 담낭을 잘라냈다. 그러나 현재는 복부 4곳에 구멍을 뚫어 시술하는 ... ...
매야, 다시 높이 날자꾸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13세기 중국의 원나라에서 포로 생활을 했던 마르코 폴로의 에‘시바의 왕
밑
에는 1만의 매사냥꾼으로 편성된 군대가 있어 당시 그들이 사냥한 것으로 전 국민의 식량을 조달했다’라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매사냥은 널리 행해졌답니다.우리나라도 오랜 옛날부터 매사냥이 시작되어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비닐하우스 안에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퇴비를 뿌렸다고 하자. 햇빛이 비추면 땅
밑
에 스며들어 있는 물이 서서히 증발한다. 이때 물에 녹아있던 소금기가 함께 위로 올라와 지표면에 모인다. 이는 바로 사막화의 원인이 된다. 지표면에 소금기가 집적돼 있으면 염분에 약한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기 ... ...
짝사랑은 병, 치료 필요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나타난다”고 말했다.한편 문자나 이메일을 수시로 확인하는 등 강박장애 증상 역시
밑
바탕에는 짝사랑의 아픔이 깔려있을 수 있으므로 의사들이 이를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 ...
조선시대 이미 식이요법 있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태운 후 약숟가락 정도의 남은 재를 술에 타 먹으면 차도가 있다’ ‘위가 막혀 명치
밑
이 그득하고 답답한 증상이 있으면 생강즙 반 홉에 꿀 한 숟가락을 넣고 달여 끓여 3번 복용한다’ 등이 바로 그것이다.오늘날 최고 식품으로 꼽히는 우유의 효험에 대한 언급도 보인다. ‘병을 앓은 후에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설명하고자 했던 많은 심리학자들도 지각, 언어, 주의력, 기억 같은 정신현상의
밑
바탕을 이루는 뇌의 작용기전을 탐색하는 쪽으로 관심을 옮기게 됐다. 이런 연구를 더욱 가속화시킨 것은 뇌 영상기술의 출현과 비약적 발전이다. 이 연구들의 최종 목표는 뇌 영역별로 기능 정보들을 지도화하는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