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체험으로 보는 미래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하며 미래 기술을
상상
해보고 정보통신기술의 원리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상상
하는 기술이 정말 실현될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디지털 터치 스크린에 공을 던져 멸종위기 동물을 구하는 게임을하고 있다 ... ...
제2회 전시물 스토리텔링 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
상상
하고! 만들고! 나누다!"국립과천과학관의 다양한 전시물을 나만의 이야기로 풀어내서 사람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대회가 열려요. 바로 ‘제2회 전시물 스토리텔링 대회’랍니다. 이번 대회의 주제는 ‘내가 꿈꾸는 사이피아(SCIPIA)’예요. 사이피아란 과학(Science)과 유토피아(Utopia)를 합쳐서 만든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찍을까?’, ‘새들이 꽤 많을 텐데 설마 똥을 맞지는 않겠지?’ 하지만 그곳에서는 전혀
상상
하지 못했던 일이 기다리고 있었다.안성천 다리 밑에서 하늘만 바라본 하루“철새 등에 스마트폰을 달아 주는 거라고 보시면 돼요.”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안성천교 교각 아래서 만난 한승우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때문이다.STEP BY STEP뚫고 지나가면 계단이 보인다양자역학의 세계에서는 고전역학에선
상상
할 수 없는 일이 많이 일어나지만,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터널링’이라는 현상이다. 입자의 에너지는 운동에너지(K)와 퍼텐셜에너지(V)의 합(Ε=Κ+V)이다. 고전역학의 세계에서 입자의 에너지는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안전한 직업일까?디봇의 이야기는 먼 미래에 일어날 수도 있는 극단적인 상황을
상상
해본 것이다. 극단적이라고는 하지만 전문가들은 분자컴퓨터와 뉴로모픽컴퓨터에서는 소프트웨어가 필요 없다고 단언한다. 이들은 뇌의 구조 혹은 기능을 모사한 컴퓨터다. 마치 뇌처럼 하드웨어와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기술들도 현재 실제로 존재하거나 기술 개발 중에 있다. 40년 전부터 조지 루카스 감독이
상상
한 기술 가운데 많은 부분이 실현된 것이다. 어쩌면 그에게도 제다이처럼 미래를 내다보는 포스가 있었는지 모르겠다.어떤가. 이정도면 여러분은 스타워즈 속 과학기술핵심 키워드에 대해 친구나 연인에게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기온이 몇 도쯤 되나요?현재 남극은 영하 3.7℃ 정도, 바람은 5.8㎧ 정도 불고 있습니다.
상상
했던 것보단 춥지 않죠? 세종과학기지가 남극 반도의 끝자락에 있어서 해양성기후를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바람 세기에 따라 체감온도는 더 낮을 수 있죠. 얼마 전 눈보라가 치던 날은 기온이 영하 1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꿈을 가지세요. 그리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푹 빠져서 즐기세요. 즐기며 배우다 보면
상상
력을 키울 수 있고,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아이디어도 나올 수 있답니다. 제가 지난 해 특허를 15개나 낼 수 있었던 비결이지요. 공부를 게임처럼 즐기는 어린이가 되세요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공감했다. 인류가 지구라는 행성에 태어난 것이 얼마나 큰 특권인지, 우주가 우리가
상상
하는 것보다 얼마나 더 크고 신비로운지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나 역시 이곳에서 지구의 미래 세대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 하루빨리 지구와 교신할 방법을 알아내, 나의 화성탐사 뉴스를 전하는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손을 떠난 야구공을
상상
해보자. 이 공이 움직일 궤적을 그릴 때는 투수가 미트를 향해 직선으로 던진 힘 외에도 공을 지표면으로 끌어 당기는 중력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투수의 손을 떠난 공은 앞으로 나아가며 떨어지는 포물선을 그릴 것이다. 그런데 실제 야구 선수들이 던진 공의 궤적은 이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