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d라이브러리
"
액체
"(으)로 총 2,192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두 차례의 시도가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나로호는 2단 로켓으로 1단은 러시아가 개발한
액체
연료 로켓, 2단은 우리나라가 직접 개발한 고체연료 로켓으로 이뤄졌다. 나로호에는 과학기술 위성2호가 실려 있었다.첫 번째 시도는 2009년 8월 25일에 있었다. 발사 자체는 성공적이었다. 하지만 인공위성을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하고 초음파의 흐름을 방해하는 손가락이 닿으면 그 변화를 읽어 내는 방법이지요.
액체
가 묻으면 잘 작동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어요.광학 이미징 방식터치스크린의 위나 아래에 적외선 조명을 달아 터치를 하면 생기는 적외선 그림자나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방식이에요. 50인치 이상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어도 신형 엔진 개발에 최소 7~8년 이상 걸리는 해외 사례만 보더라도 2020년까지 75t급
액체
로켓을 개발하고 이를 4개 이어붙이는 클러스터링 기술을 확보하기란 쉽지 않다”며 “충분한 예산과 감리 시스템, 전문가 조직을 갖춰 현실성이 있는 방식으로 우주 발사체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 ...
섬유에서 시작하는 패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원리를 응용했다. 즉 물이 0℃를 경계로 열을 방출해 어는점에 가까워지거나 열을 흡수해
액체
가 되는 원리를 활용한 것이다. 이 소재는 체온(약 36.5℃)과 비슷한 온도인 약 32℃에서 상변화를 일으키는 마이크로캡슐을 넣어 섬유의 온도가 이보다 높으면 녹으면서 열을 흡수하고, 낮으면 굳으면서 ... ...
공간을 가득 채우려면 사면체로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상자를 가장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입체도형은 무엇일까요? 사면체가 답이라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됐습니다.미국 뉴욕대학교 연구팀은 상자 안에 ... 집적도를 높이거나 알약이나 사탕을 효과적으로 포장하는 방법, 흙을 통과하는
액체
의 흐름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전망입니다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기대되고 있다. 총알을 맞으면 단단해지는 탱크“탕탕탕” 총알을 맞자 탱크에 발라진
액체
속의 입자가 서로 어깨를 맞대고 촘촘히 붙기 시작한다. 그러자 총알이 튕겨 나간다. 영국방위산업체가 개발한 이 탱크의 비밀은 탄소섬유를 녹여 만든 페인트다.탄소로 촘촘히 짜여진 탄소섬유는 열과 ... ...
다각형은 팔방미인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모습 중에는 물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많다. 지구 표면의 70%를 덮고 있는 물은 고체,
액체
, 기체로 바뀌면서 순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땅의 모습을 바꾸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나일 강 하구의 삼각주(이집트)하천 상류에서 운반된 물질들이 하구에 퇴적되어 만들어진 지형이다.-중학교 1학년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창원대 화학과 신동수 교수도 “최근 수산기가 포함된 이온성
액체
를 흘려보내 셀룰로오스의 결합을 약하게 만들거나 대나무를 아주 잘게 분쇄하는 방법으로 에탄올로 바꾸는 수율을 높인다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어 이 둘을 함께 적용하면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 ...
절대 터지면 안 되는 ‘열통 터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자동차를 운행한대. 대단하지? 우리나라에서도 농촌진흥청이 1998년부터 가축 분뇨로
액체
비료를 만들고 전기를 만드는 시설을 운영하고 있어.전북 익산 왕궁지역에는 국제바이오에너지 연구센터가 들어서 새만금 지역의 수질을 개선하는 데 일조할 계획이래. 그동안 이곳은 축산단지의 오물과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II 사업이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국내에는 로켓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액체
로켓 엔진 기술을 처음부터 다시 개발해야 하는 상황에서 또 한 차례 더 발사할 경우 2020년이라는 발사 목표 시점을 시간상 맞추기 힘든 실정이다. 교과부는 나로호가 실패할 경우 최대 3번까지 동일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