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우와~. 추적 장치로 이동경로를 밝혀서 우리를 보호하려고 하는 거구나. 연구자 뿐만 아니라 우리를 위해 활동하는 시민들도 있다는데, 궁금해! 소개해 줘! 시민들과 함께 흰머리수리의 개체수를 밝힌다!흰머리수리는 20세기 들어 살충제(DDT)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했지만, 보존 활동으로 지금은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19년 12월 2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자연과학대 국제콘퍼런스홀.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주최한 ‘2019 SNU 생명과학 신호전달 및 염색질 심포지엄’에 귀한 친구가 찾아왔다.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그레그 서멘자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였다. 2008년 인연을 맺은 두 과학자 ... ...
- 이 시각 MIT에서는? ‘위대한 적분가’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북적북적’이곳은 미국의 명문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캠퍼스입니다. 한창 방학인 1월에 학생들이 각자 무언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뭘 하는 걸까요? 잠깐, 한 강의실에 익숙한 수학 기호가 새겨진 모자가 보입니다. 그 옆에 무언가 적혀 있는데요, 오잉? ‘위대한 적분가’…? MIT 학 ...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보면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닭을 키워왔던 것 같아요. 인간 유적에서 발견된 닭의 흔적은 4000년 전의 것으로, 소나 돼지 같은 다른 가축보다는 비교적 최근의 일이랍니다. 동남아시아의 정글에 살고 있던 야생종 닭인 ‘적색야계’를 인간이 길들인 것으로 추측하지요.고고학자들이 사람이 키운 가장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평범한 물병은 가라! 마라톤에 참가한 섭섭박사님은 달릴 때마다 거추장스러운 물병이 신경 쓰였어요. 그래서 먹어서 없앨 수 있는 물병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지요. “얇은 막 안에 물을 가둬보는 거야!”과연, 우리의 섭섭박사님은 성공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된 걸까?☞ 결과 : 화학반응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제주 바닷길 따라 한가득 … 까마귀쪽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제주도 해안가를 가본 적이 있다면 까마귀쪽나무를 한 번쯤 봤을지도 몰라요. 7m의 큰 키로 자라나는 까마귀쪽나무는 소금이 섞인 바닷바람을 쐬어도 잘 자라 해안가의 가로수로 많이 쓰이거든요. 제주도에는 까마귀쪽나무의 방언인 ‘구럼비낭’과 이름이 비슷한 ‘구럼비’라는 지역이 있는데, ... ...
- 지렁이의 비밀① 지렁이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우리 지렁이 나라는 전세계에 걸쳐 있다네. 전세계 어디든 가리지 않는데, 지상에 사는 생물들과는 패턴이 좀 다르지. 여기 지도를 보면서 더 자세히 설명해주겠네. 세계 최초, 지렁이 지도 완성되다!10월 25일, 독일 통합 생물다양성 연구센터 헬렌 필립스 연구원팀은 전세계에 어떤 지렁이가 얼마 ... ...
- 지렁이의 비밀② 특별한 생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우리는 전세계 곳곳에 흩어져 살고 있지만, 사람들은 발 밑을 눈여겨보지 않기 때문에 우릴 찾기 어려울 거네. 아는 만큼 보이는 법! 알고 보면 우리 지렁이들이 더욱 특별하게 느껴질 걸세.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렁이는 어떻게 전 세계를 차지했을까?지렁이가 기어가는 모 ... ...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한산하고 그늘진 병동. 꿀록 탐정이 한 병실의 차가운 문손잡이를 잡았어요.“여기가 토끼가 알려준 방이야. 동화 나라에서 문제를 일으킨 범인이 이 안에 있어.”개코 조수가 떨리는 목소리로 물었어요.“맨몸으로 들어가시게요? 위험하지 않을까요?”“그…, 그런가?”긴장한 꿀록이 권투 자세를 ... ...
-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공부하지 않아도 영어를 술술 말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해외여행을 떠날 때 그 나라의 언어를 뇌에 심을 수 있다면요? 이런 SF영화 속에서나 일어날 법한 일들이 아주 먼 미래의 일이 아닐 수 있답니다! 최근 빛으로 뇌를 조종하는 연구가 발표됐거든요. 아기새, 배운 적 없는 노래를 불렀다?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