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미국 애리조나대 생태학및진화생물
학과
교수와 드미트리 페트로프 스탠퍼드대 생물
학과
교수는 인간의 유전자에서 바이러스와 상호 작용하는 유전자 4500여 개를 찾아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와 대조했다. 그 결과 현대 인류에게 남아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는 총 152개이며, 이 유전자가 모두 ... ...
[과학뉴스] 찾았다! 중성자별 쌍성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쌍성을 이루는 중성자별이 최초로 관측됐다.맨시 카슬리왈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천문
학과
교수팀은 거대 항성이 초신성 폭발 이후 소멸 과정에서 중성자별 쌍성계를 형성하는 모습을 최초로 관측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9억20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존스턴 주니어 미국 존스홉킨스대 생물
학과
교수팀이 줄기세포를 망막 오가노이드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오가노이드는 실제 장기와 비슷한 구조와 세포 구성, 기능을 지닌 ‘미니 장기’다.연구팀은 망막으로 분화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와 화학물질을 공급해 줄기세포를 2주간 배양했다. 그 결과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올해 노벨 화학상은 효소, 항체 등 생물 분자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효소의 방향적 진화(directed evolution of enzymes)를 연구한 프랜시스 ... 물리
학과
화학을 전공했다. 현재 캘리포니아 공대 프랜시스 아놀드 교슈의 연구실에서 생화
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재직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
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hongsikjeong@tsinghua.edu ... ...
건국대 상허1급 장학생 백하나 - “백지 노트와 오답 노트 덕 봤어요”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미리 가보는 수의학 교실’이다. 백 씨는 “고등 학생이 읽기에는 조금 어렵지만, 수의
학과
로 진학을 꿈꾸는 학생이라면 이 책이 동기 부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두 살배기 입속 구강미생물로 비만 예측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비만과 관련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캐터리나 마코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생물
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어린이 226명을조사해 급격히 체중이 증가한 아이일수록 구강미생물 가운데 의간균류(Bacteroidetes)에 대한 후벽균류(Firmicutes)의 비율이 높고, 미생물 조성이 다양하지 않다는 사실을 ... ...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데이터가 90~99%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한 김재희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
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친족 확인도 30% 이상 맞히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doi:10.1016/j.cell.2018.09.00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학문의 정점에 서 있는 사람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최근 들어 수학적인 기법이 생물
학과
금융은 물론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만큼 수학자들의 길은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리벳 교수는 “미국의 경우 10~15년 뒤에는 수학 박사들의 대다수가 대학이 아닌 산업계와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분야와의 융합이 잦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분자생물
학과
생화학 분야가 각광 받으면서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의 경계가 모호해졌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노벨상이 100년 이상 수상 기준과 수상 분야의 틀을 고스란히 이어온 탓에 새로운 연구 분야가 탄생하거나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