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d라이브러리
"
학회
"(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항균펩티드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장벽 기능을 향상시킨다고 ‘미국피부연구
학회
지’에 보고했다. 최 교수는 “이는 피부장벽기능이 현저히 떨어져 있고 피부감염에 취약한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왜 자외선B의 조사가 증상을 호전시키는 지를 설명하는 증거”라고 말했다.그렇다면 겨울철엔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보여줬던 내용이었다. 더구나 월리스가 다윈에게 보낸 논문은 짧고 거친 글이어서 린네
학회
에서 발표됐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눈길을 끌지 못했다. 이 점은 함께 발표된 다윈의 초록도 마찬가지였다. ‘종의 기원’과는 그 무게와 호소력에 있어 비교가 되지 않았다. 다윈은 월리스가 자신과 ... ...
[고생물학]공룡 머릿속이 빈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오하이오대 로렌스 위트머 교수팀은 공룡 머릿속 빈 공간의 역할을 알아냈다고 미국 해부
학회
가 발간하는 ‘아나토미컬 레코드’ 11월호에 밝혔다.연구팀은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육식공룡과 파노플로사우루스 같은 초식공룡 머리뼈 화석 안의 공간을 보기 위해 컴퓨터단층(CT)촬영을 하고 3차원 ... ...
시끌벅적 소리로 가득 찬 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꾸욱’ 소 울음소리를 낸다.미국 하와이대 티모시 트리커스 박사팀은 2006년 미국 음향
학회
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최소 1000종의 물고기가 다양한 방법으로 소리를 낸다고 주장했다. 물고기들이 짝짓기 상대를 유혹하거나 적을 만나 스트레스를 받아 내는 이런 소리는 대부분 청음기를 사용해야 ... ...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실험하고 토론했다. 노력은 곧 결실로 나타났다. 연구단은 이화여대 최초로 ‘미국화
학회
지’(JACS)에 논문을 발표했고 인공효소모방시스템도 개발했다. 2003년 이후 ‘사이언스’를 포함해 ‘PNAS’ 등 유명 학술지에 7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고 그 피인용 횟수는 1600회에 이른다. 남 단장은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듣곤 구조물이 매우 복잡한 항공기를 해석하는데 병렬컴퓨팅을 적용해보자고 생각했다.
학회
에서 돌아오자마자 김 교수는 대학원 석·박사과정 학생들과 함께 병렬컴퓨팅 환경을 뒷받침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1998년 드디어 프로그램의 초기 모델을 탄생시켰다. 김 교수는 여기에 ... ...
으악! 내가 주워온 아이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있거든요. 우리가 흔히 쓰는 것은 ABO식과 Rh식이지만 MNS식, 루이스식, 더피식 등 국제수혈
학회
에서 공인된 주요 혈액형만 해도 30가지예요. 그 외에도 아직 공인되지 않은 혈액형이 250가지가 넘어요.”당돌한 군이 닥터고글의 설명에 깜짝 놀란다.“그러면 수혈할때그수많은 혈액형을 모두 맞춰야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믿을 수 있을까? 미국 터프츠대 심리학과 날리니 암바디 교수팀은 2008년 실험사회심리
학회
지에 의식적으로 알아차릴 수 없을 만큼 짧은 순간 상대방의 얼굴을 보더라도 그 사람의 특성을 상당히 정확히 예측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연구팀은 실험참가자들에게 시간의 길이를 달리하면서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름값’ 때문에 국제학술대회에도 종종 초청된다. 중국 난징에서 열린 국제수리
학회
를 비롯해 올해만 벌써 두 번이나 초청강연을 했다. 서 교수에게 램스 얘기를 듣기 위해서다. 1.5차원 하천 해석 연구가 주를 이루던 학계 분위기도 최근 2차원 연구로 옮겨가고 있다. 서 교수는 이 분야에서도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잠시 끊겼던 서운관의 전통은 1965년 춘분날 창립돼 학술활동을 전개해온 한국천문
학회
와, 1974년 국립 천문대로 설립된 현재의 한국천문연구원으로 이어졌다. 서운관의 역사 700년, 그 이전 삼국시대부터 계산하면, 한국 천문학은 훨씬 더 긴 세월의 전통을 갖고 있지만, 현대 천문학이 시작된 것은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