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휴
협동
협조
연합
합작
원조
공동 작업
d라이브러리
"
협력
"(으)로 총 1,439건 검색되었습니다.
4 화석연료 대신하는 미래 청정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개발과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연구소, 대학, 관련 기업체 등이
협력
해야 한다. 아울러 전국민이 많은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면 2011년 총 에너지의 5%를 대체에너지로 공급하는 일은 꿈이 아닌 현실이 될 것이다.우리나라의 대체에너지 정책1970년대 2차례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한반도 전체 크기의 망원경이 탄생할 수 있지 않을까. 또한 일본의 전파망원경과
협력
해 아시아 권역을 묶는 세계적인 전파관측망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한국 천문학 연구가 한단계 업그레이드되는 것은 기본이다 ... ...
영국경찰이 무장하기 시작한 전기총격총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유전정보 해독에의 생화학적 접근의 길을 열었다1964~65년에는 H G 코라나(Khorana)와
협력
하여 64가지 트리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아미노산의 코드 배열을 결정했다이 업적으로 코라나, R W 홀리(Holley)와 함께 1968년에 노벨 생리 · 의학상을 수상했다 항생물질의 하나 ... ...
우주비행사 되는데 자연과학자 유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들면서 한국과의 친근감을 드러낸다. 그렇다면 유인 우주개발 분야에서 한국과 일본이
협력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채연석 원장의 서면 질의에 포함된 질문을 했다.모리 박사는“한국이 우주개발에 참여하려는 의미를 찾고 국민과 공감대를 형성해야한다”고 강조한다. 현재 ... ...
저항없는 꿈의 전력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일부 상용화된 바 있으나 성능이 불충분하고 값이 비싸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산학
협력
이 상용화의 관건약 5년 전부터 미국과 일본이 고온초전도체 합성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일본이 지난해 먼저 10m를 합성한데 이어 미국에서도 같은 길이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현재 ... ...
로봇에 감정을 불어넣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로봇산업의 종주국이라 불리는 일본에서 로봇 연구의 중심지를 찾으라면 와세다대를 첫손가락으로 꼽을 수 있다. 수준 높은 로봇 연구가 ... 비슷하고 인간형 로봇의 감정을 받아들이기 쉽다”고 말한다. 조만간 아시아 나라들이
협력
해 좋은 인간형 로봇을 만들 날을 기대하는 모습이었다 ... ...
로봇과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30여년 전부터 기계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전기통신학과, 응용물리학과 등 여러 분야가
협력
하는 연구를 수행해, 현재는 더욱 다양하고 폭넓게 공동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설명이다.한편 다카니시 교수는 일본 정부가 경제특구처럼 로봇특구를 조성하는 계획을 올 1월부터 진행하고 있다는 ... ...
3 표적 암세포만 정확히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버클리 연구소에서 양성자 치료기를 연구해온 주동일 박사가 한국과학기술원(KIST)과
협력
해 설치를 시도했으나 결실을 보지 못했다. 2001년 국립암센터의 개원과 함께 정부에서도 양성자 치료가 암치료에 중요한 장비임을 인정하고 국가예산을 할당해 국립암센터 내 설치를 결정했다.현재 ... ...
5년 뒤 우리의 생존수단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설치해 한국을 경제·물류 중심의 연구개발 거점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또 남북 과학기술
협력
도 식량위주에서 표준·기상·환경·생물분야로 확대한다.앞으로는 지방 과학기술 수준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박 장관은 지방대학을 과학기술 연구의 핵심주체로 육성하고 중앙정부는 각종 지원수단에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분야는 달랐지만 아주 영리하고 뛰어났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과학사에 영원히 남을
협력
관계를 구축한 것도 바로 그들의 뛰어남 때문이었다. 미국 시카고대에서 조류학을 전공한 뒤 인디애나대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왓슨은 코펜하겐에서 생화학 연구를 할 수 있는 연구비를 받아 유럽으로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