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삼는 바이러스를 통칭하는 박테리오파지의 무게를 더하면 전 세계 코끼리를 합한 무게의 1000배가 넘는다. 문제는 인간에게 낯선 바이러스가 인간을 숙주로 삼을 때 발생한다. 낯선 바이러스들은 대부분 야생동물을 한 번 거쳐 인간에게 옮겨온다. 2002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 증후군)를 유발한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한 번 기침할 때 약 3000개의 비말(침방울)이 만들어진다.지름 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인 침방울에 바이러스 입자가 담겨 전파되면, 이를 비말감염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비말은 기침을 한 사람의 전방 2m까지 퍼진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개인 간 거리를 2m 이상 유지하라고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한 예로 2017년 발견된 클로스노이 바이러스는 유전체 크기가 무려 1.57Mb(메가베이스·1Mb는 100만 염기쌍)였다. 이는 유전체 크기가 작은 일부 세균들보다 더 큰 수치다. 또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는 체계도 가졌다. 숙주의 도움 없이 스스로 단백질을 합성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유전적 체계는 완벽히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례였습니다. 1990년대 만들어진 이 모임에는 은퇴한 연구자와 현역 연구자, 시민들이 100여 명 활동하고 있었습니다. 오랜 역사 덕에 모임은 전문가를 배출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어릴 적부터 참여한 그랜트 연구원도 그중 하나입니다.시민들의 연구 수준 역시 상당했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발표는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저장하고, 이를 다시 밤에 사용하는 걸 반복해요. 현재의 배터리 기술로는 최대 100회까지 반복해 비행할 수 있으며, 내후년 쯤에는 300회 이상 반복할 수 있도록 연구를 거듭하고 있답니다. 이융교 책임연구원은 “배터리의 성능이 좋아진다면 태양광 드론의 비행 기간을 최대 1년까지 연장할 수 있을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예측했어(자세한 시나리오가 궁금하면 36쪽을 참고해!). 그러니 프랭크 교수가 말한 ‘2100년’은 현 인류가 대체 자원을 찾지 못하고 그대로 문명을 지속할 경우 전 지구적 변화가 일어날 거라 예측되는 시기인 거야. 예측을 막고 미래를 바꾸는 힘거대 기계 오피키언도 여섯 귀신이 세상에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대한민국을 깡타한 '나 비 효과' 역주행의 신화, 깡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타이틀곡이다. 당시 깡은 이른바 ‘실패한 노래’였다. 모든 음원 차트에서 ‘탑 100’에 들지 못했고 음악적으로도 평론가들에게 혹평을 받았으며 음원, 뮤비 모두 반등하지 못한 채 빠르게 잊혔기 때문이다. 그런데 2020년에 갑자기 깡이 다시 실시간 차트에 진입했다. 뿐만 아니라 유튜브는 깡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2. 서너 자릿수를 읽는 함수백의 자릿수를 읽는 방법도 십의 자릿수와 비슷하게 100으로 나눈 몫에 hundred를 붙여 읽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일, 십의 자릿수를 읽었던 코드로 읽습니다. 주의할 점은 나머지가 0일 때는 백의 자릿수만 읽고, 0이 아니라면 백과 십의 자릿수 사이에 and를 넣어야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대단한 선방이었다. 이후 발표된 3상 임상시험 결과에서도 어베보의 감염 예방 효과는 100%에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어베보는 2019년 최초의 에볼라 백신으로 승인받았다. 다사다난한 백신 개발 비하인드 스토리는 현재 진행형이다. 최근에는 증식과정에서 수시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968년 홍콩독감이 대표적이다. 세계적으로 스페인독감은 5000만 명 이상이, 홍콩독감은 10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 주범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중에서도 A형으로 분류되는 종이었다.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헤마글루티닌(HA)과 뉴라미니데이즈(NA)라는 두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다. 현재 HA는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