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3,95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큰 결과를 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 화학 시스템과 생물 시스템의
결합
미국 텍사스A&M대 연구자들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대신 원료로 써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HA를 만드는 화학-생물(chem-bio) 융합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산화탄소를 에탄올이나 아세테이트 같은 ... ...
암세포와 싸우는 'NK세포' 작용 조절하는 새 면역관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연구팀은 NgR1이 암 환자의 예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밝혔다. NgR1과
결합
하는 면역억제 단백질인 Nogo A가 많이 발현될수록 임상학적으로 예후가 나빠 환자의 생존에 위험률이 높아졌다. 연구 책임자인 김태돈 책임연구원은 “새롭게 밝혀진 면역관문이 NK세포의 활성 조절에 대한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수용체의 크기는 접착연접 너비보다 커 접착연접 안으로의 접근이 제한된다. 리간드와
결합
해 활성화를 시작한 노치 수용체는 접착연접 구조의 바깥에서 ADAM 효소에 의해 절단되고 크기가 작아진 수용체는 접착연접 안으로 접근한다. 접착연접에 진입한 노치 수용체는 내부에 고농도로 모집된 감마 ... ...
코로나 항바이러스 치료제, 오미크론 하위 변이에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사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지만 새로운 변이에서 변화된 스파이크 단백질에 제대로
결합
하지 못해 신종 변이에 대응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지난달 미국식품의약국(FDA)이 다국적제약사 일라이릴리의 항체치료제 ‘베텔로비맙’을 긴급승인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사실상 사용이 중단됐다. 국내 ... ...
아연·망간으로 수명 제약 없는 레독스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책임연구원은 "저비용의 아연-망간 소재와 가역성을 높일 수 있는 금속 이온 촉매 기술이
결합
된 신개념의 레독스흐름전지 기술"이라며 "이번 성과는 차세대 장주기 대용량 레독스흐름전지 보급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눈에 착용하면 치매 진단하는 인공수정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때 주기의 차이에 따라 시각적으로 만들어지는 줄무늬를 의미한다. 항체가
결합
된 하이드로겔 패턴이 타깃 바이오마커와 반응하면 수축하게 되는데, 스마트 인공수정체는 수축으로 좁아진 패턴을 기준격자와 겹쳤을 때 생성되는 모아레 신호 변화를 이용하는 원리로 바이오마커를 검출한다 ... ...
첨단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에 5594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3
DELT) 기반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에는 48억원이 배정됐다. DELT는 유기 분자에 DNA 바코드를
결합
한 화합물 라이브러리로 대량의 화합물을 한번에 탐색할 수 있어 기존 방식보다 시간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시장지향형 혁신적 의료기기 개발에 주력한다. 원천기술 ... ...
생쥐에 이식한 인간 뇌, 외부 자극에 반응 순간 포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만든 미세전극과 살아있는 조직을 1mm 두께까지 촬영할 수 있는 2광자 현미경을
결합
했다. 2광자 현미경은 기존 1광자 현미경이 1개 광자를 흡수하는 것과 달리 광자 2개를 동시에 흡수한다. 광자의 파장이 2배가 되면서 더욱 정밀한 촬영이 가능하다. 이렇게 개발된 뇌 촬영 장치는 이식된 뇌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사진에서 3차원 정보 추론하는 AI 반도체 IP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KAIST는 심층신경망 추론 기술 및 센서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결합
하는 기술을 통해 사진으로부터 3차원 공간정보 추출하고 물체를 인식해 처리하는 인공지능(AI) 칩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 중 PIM 반도체 시스템에 필요한 기술을 지식재산권화 했다. 유회준 교수는 ... ...
혈액으로 알츠하이머 진단 길 열릴까…비싼 검사법 대체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혈액에서 뇌 신경세포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뇌에 있는 타우단백질과 선택적으로
결합
하는 항체를 생성했다. 이 항체는 타우단백질의 정보를 그대로 갖는 동시에 신체 말단에서 흐르는 혈액으로부터 추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생성된 항체가 실제 타우단백질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는지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