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체 정전기 이용해 오염수를 식수로 정화동아사이언스 l2024.04.15
-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휴대형 물병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상우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중국 인민대 및 칭화대 국제공동연구팀이 전기천공법을 활용해 수인성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휴대용 장치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전기천공법은 병원체에 축적된 이온이 강한 압축 응력을 ... ...
- 지자체도 위성 쏘는 시대 본격화...전문가들 "득실 잘 따져야"동아사이언스 l2024.04.15
- 두개 위성으로 의미 있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위성 개발 자체가 목표여서는 안 된다"며 "중앙 정부 차원에서 지자체 위성을 이용해 어떤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 큰 그림을 그린 뒤 지자체와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 예를 들어 '지자체 위성과 ... ...
- 점프도 하고 비행도 하는 '하이브리드 로봇'동아사이언스 l2024.04.15
- 기대된다. 빡퐁 치라라따나논 중국 홍콩시티대 의생명공학 및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하이브리드 호핑 및 비행 로봇인 홉콥터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0일(현지 시간)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했다. 생물들 중에는 공중과 지상 이동을 융합해 움직이는 생물이 많다. 앵무새나 참새 같은 조류는 ... ...
- [과기원NOW] KAIST, 미래 식량 '미생물 식품' 생산 전략 밝혀동아사이언스 l2024.04.12
- 제공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최경록 생물공정연구센터 연구교수와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가 ‘지속 가능한 원료로부터의 미생물 식품 생산’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미생물 식품은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되는 각종 식품과 식품 원료를 가리킨다. 연구진은 미생물 ... ...
- '우주 신약 개발' 스타트업 스페이스린텍, 40억원 투자 유치동아사이언스 l2024.04.12
- 우주의학 위성 플랫폼 실증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개발 중인 플랫폼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하버드 의대, 한국과학기술원 등과의 공동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우주 신약개발 장치들이 탑재된다. 이를 통해 회사는 구조기반 신약 및 면역항암제 부문에서 우주의 미세중력 환경을 활용해 ... ...
- [과기원 NOW] UNIST, 지역 물류 더 효율적으로 배송한다 外동아사이언스 l2024.04.11
- 산업공학과 교수와 김재성 연구원.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권상진 산업공학과 교수팀이 연간 유동인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크라우드소싱을 통합한 물류 최적화 방법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고객에게 배송되는 마지막 단계인 '라스트 마일 배송'을 크라우드소싱과 결합해 이상적인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2024.04.11
- '가짜 학회(학술회의)'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2018년부터다. 과학·공학·인문사회 분야의 학술대회 개최를 전문으로 하는 '유령학술단체'로 알려진 '와셋'(WASET)과 '오믹스'(OMICS)에 참여하는 우리나라 학자의 수가 세계 5위라는 독일 언론의 보도 때문이었다. 2015년부터 3년 동안 ... ...
- 하이브리드 소듐 전지 개발…"수 초 만에 급속 충전"동아사이언스 l2024.04.11
- 수 있어 전기 자동차, 스마트 기기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강정구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존 리튬이온(Li+) 전지를 대체할 소듐이온(Na+) 전지 특성을 극대화한 고에너지·고출력 하이브리드 소듐이온 전지를 개발해 연구 결과를 지난달 29일 국제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 ...
- [과기원NOW] GIST,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환경공학-에너지 분야 연구협력 外동아사이언스 l2024.04.09
- ■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교수, 김영기 화학공학과 교수가 이끈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메타표면 기술로 색과 모양 바꾸는 능동형 메타홀로그램을 구현하고 연구 결과를 지난달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게재했다고 9일 발표했다. ... ...
- 디스플레이소자 '양자점' 성능·수명 감소 원인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4.04.09
- 쓰이는 양자점의 성능과 수명이 줄어드는 이유를 밝혀냈다. 서울대는 박정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삼성디스플레이 공동연구팀이 양자점의 발광 성능의 열화 메커니즘을 규명해 고성능, 장수명 양자점 디스플레이 소재의 기틀을 마련하고 연구 결과를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