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뉴스
"
내
"(으)로 총 14,665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부처에 회의안건 직접 요구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성과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등 연구자와 관리기관의 행정부담을 완화하고 과제·성과통계
내
실화에 나선다. 국과심을 주재한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논의한 각 안건과 관련한 정책 및 사업들이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적극적으로 협의하고 현장 이해관계자들과도 ... ...
스트레스 조절하는 장
내
미생물…난치 우울증 등 새 치료법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며 "이는 스트레스가 많고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건강한 장
내
미생물 군집 유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 10.1016/j.cmet.2024.10.00 ... ...
면역항암제 안듣는 난치성 뇌종양 치료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결손 시 종양 항원 특이적 기억 T세포가 증가했고 기억 T세포의 아형은 종양 조직
내
T세포 침투를 이끌었다. 면역관문억제제 치료 시 T세포의 항암 효과가 증대됐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는 면역관문억제제에 불응성을 보이는 종양에 대한 새로운 치료 타깃을 제시했다. 교모세포종처럼 ... ...
구본경 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 유럽연합서 연구비 지원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유전자 교정 기법으로 제작한 생쥐 및 오가노이드(유사장기) 모델을 이용해 위장관
내
성체 줄기세포를 연구해왔다. 구 단장이 고안한 모자이크 유전학을 통해 생쥐 모델로 암 발생 초기 단계를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 모자이크 유전학은 서로 다른 유전적 구성을 가진 세포들이 공존하는 현상을 ... ...
AI가 설계한 '인공 단백질'이 신약으로 빛 보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보이는 가장 안정적인 형태만 관찰된다. 단백질의 다양한 움직임과 형태를 알아
내
기 위한 계산 속도를 높여야 하는데 이는 머신러닝을 통해 지속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들이 단백질 예측 프로그램의 부정적인 결과물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점도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 ...
40분이면 암 진단…유전자가위 기반 진단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액체 생체검사법으로 정확하게 암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체액
내
바이오마커를 정밀히 탐지해야 하는데 그 양이 매우 적다. 연구팀이 개발한 SCOPE는 종양 세포가 방출하는 세포 외 소포체(EVs)의 mRNA를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인 'CRISPR-Cas13a'를 이용해 대폭 증가시켜 감지한다. 연구팀은 ... ...
30%만 효과 보는 면역항암제…대사·미생물에서 개선 방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가 진일보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약물
내
성 업데이트’ 저널에 지난달 10일 온라인 게재됐다. doi.org/10.1016/j.drup.2024.10115 ... ...
백인에게 흔한 '흑색종', 국
내
진료 강화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종양
내
과에서는 표적치료를 받았다. 3년 6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재발은 없다. 국
내
에서 유일하게 미국 모즈수술학회 공인을 받은 피부외과의사인 오병호 교수는 “흑색종은 중기에 이를수록 예후가 급격히 나빠지는 질환인 만큼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며 “최근에는 손가락, 발가락의 ... ...
국가바이오위원회 12월 출범…부위원장에 이상엽 KAIST 부총장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양자 과학기술 분야 정책을 총괄할 양자전략위원회도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아 연
내
에 출범한다. 정부는 과학기술 정책 최고위 기구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와 신설된 전략기술위원회 간 연계 체계도 공고히 하기로 했다. 박 수석은 "각 위원회가 소관 분야 중장기 계획과 투자 전략을 제시한다 ... ...
노벨 과학상 휩쓴 AI의 다음 행보는 공간지능·창발성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못하게 발휘하는 현상이다. 훈련된 데이터를 넘어서는 범위에서 새로운 패턴을 찾아
내
거나 설계되지 않은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어려운 수학 문제를 인간이 접근하지 못한 방식으로 풀거나 논리적인 사고 능력을 보이는 것이 해당한다. AI의 창발성은 AI가 마치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