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
오직
단지
단독
뉴스
"
유일
"(으)로 총 1,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자신의 지위를 높이고 그 다음에는 내가 당했던 것처럼 내 밑에 있는 사람을 굴리는 것이
유일
한 보상이 된다. 이렇게 억울함 발생 후 그 해결 과정이 올바른지 여부에 따라 한 때 억울했던 일의 피해자가 불의의 가해자가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연구들이 있다.(Zitek et al., 2010). 나 말고 다른 ... ...
[기자의 눈] 엇박자 내는 방폐물 관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9.03
한 방폐물 분석기관이다. 공단은 한국 내 방폐물의 최종 처리를 담당하도록 정부가 만든
유일
한 기관이다. 예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안전을 최대한 지킬 수 있는 대책은 두 기관의 '대화'에서 나올 것이다 ... ...
[사고] 빨대로 수학기사 써 보실래요
수학동아
l
2019.09.03
알고리듬을 소개했죠. 어떠세요. 흥미롭지 않나요? 수학도 '힙할' 수 있습니다. 국내
유일
의 수학잡지 수학동아가 세상의 '힙한' 이야기들에 수학을 버무려 더 '힙한' 기사를 써 줄 기자를 찾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와 수학에 관심이 많은 기자 지망생 여러분의 도전을 기다립니다! ☞채용 ... ...
'가습기살균제 정보 제공' 정성환 길병원 교수 대통령 표창
연합뉴스
l
2019.08.28
유공자를 대상으로 수여하며 대통령 표창 수상자 9명 가운데 민간 분야에서는 정 교수가
유일
하게 선정됐다. 정 교수는 "앞으로도 가습기 피해 연구 사업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며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뇌파 보고 수면단계 맞히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26일 밝혔다. 뇌파는 현재 중추신경계의 생리적 활성을 몸밖에서 측정할 수 있는
유일
한 지표다. 뇌파검사나 수면다원검사를 하려면 환자의 의식 상태를 구분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데 뇌파검사 시 30분 이상, 수면다원검사 시 8시간 이상 소요할 만큼 번거롭다. 황희 분당서울대병원 ... ...
[에코리포트]제주 비자림로 확장 논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25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특별 생태조사에 참여한 배윤혁 연구원은 “국내 중 제주에서만
유일
하게 발견되는 두점박이사슴벌레는 불빛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인데, 도로를 만들고 가로등을 설치하면 많은 개체가 불빛에 날아들어 차에 깔려 죽게 될 것”이라며 삼나무 벌채에 대한 우려를 ... ...
발생기관이 안전검증도 '알아서'…교차검증 없는 방폐물 관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4
이를 맡아 처리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원자력연구원이 방폐물 핵종분석을
유일
하게 담당하고 있다. 일찍부터 원전을 짓고 운영하는 나라들은 핵종분석이 가능한 기관이 추가로 참여하는 교차 검증 시스템을 갖추고 방폐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다. 방폐장을 운영하는 ... ...
울산 기업체 기술력 높였다…시-화학연구원 협력 성과
연합뉴스
l
2019.08.21
이번 개발로 수입제품의 60% 수준 가격으로 제품 생산을 할 수 있게 됐다. 국내
유일
사카린 제조업체인 제이엠씨는 공정 효율화 기술 개발에 성공, 생산량 증가와 원가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을 개선했다. 이 회사는 사카린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처리 공정과 산화공정 효율성을 ... ...
최고 중성자 실험시설 두고도… 이론수업만 할 수밖에 없는 이상한 교육 프로그램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하나로'.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5년 동안 가동 기간 3개월, 가동률 5%'. 국내
유일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의 최근 5년간 가동 성적표다. 국내에서 하나뿐인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가 재가동 시점을 잡지 못한 가운데 표류하고 있다. 운영 기관인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아시아와 태평양 ... ...
"日의 소재 공격 맞서 中企에 기술이전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탄소나노튜브를 박막 형태로 가공해 세우고 그래핀을 전극으로 쓴 방식은 이 교수가
유일
하다. 국내 기업들과 여러 형태로 시제품을 만들어 실험한 결과, 시판 중인 X선 장비로 촬영한 영상에 견줄 만한 영상을 얻는 데 성공했다. 이 교수는 “그동안 기술을 완성하는 게 먼저라 공개하지 않았지만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