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의심
물음
의혹
문제
질의
앙케트
뉴스
"
의문
"(으)로 총 1,097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쓴 책으로 오늘날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 만연돼 있는 거울뉴런 만능론에 대해
의문
을 제기하고 있다. 즉 오늘날 팔방미인인 거울뉴런의 기초연구가 너무 부실하다는 것. 원숭이는 개별 뇌세포에 전극을 꽂아 거울뉴런을 확인했지만 사람은 아직까지 fMRI 같은 두루뭉술한 해상력을 지니는 ... ...
인류를 만든 부품은 외계로부터
2014.11.30
말은 부정적으로 쓰이는데 과연 둘 사이의 차이는 무엇일까’ 등 과학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
에서부터 ‘진리란 과연 무엇이고, 과학이 이를 제대로 추구할 수 있는가’ ‘관측결과로 얻은 과학지식은 100% 믿을 수 있는가’ 등 인간의 인식에 대한 문제와 일상에서 접하는 과학지식을 의심하고 ... ...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월트 디즈니 제공 거짓말을 하면 딸꾹질을 한다?! 드라마 ‘피노키오’의 여주인공은 피노키오 증후군이다. 거짓말을 하면 코가 길어지는 것 대신 자율신경 ... ‘기자’를 합친 직업이다. 문득 피노키오 증후군에 걸리지 않은 것에 감사해야 할지 아쉬워해야 할지
의문
이 든다. ... ...
“난치병 환자에게 실험약물 처방, 찬성하는가?”
2014.11.04
투표는 우리나라에서 해 본 적이 없고, 이것이 가능한 민주주의 수준에 이르렀는지는
의문
”이라면서도 “아무리 미국이라 해도 사회 구성원들이 문제 사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유권자들에게 도리어 부담일 수 있어 과학기술에 대한 직접민주주의가 옳은 것인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 ... ...
하루 우유 세 잔 이상 위험? 전문가 “한국선 적용 어려워”
동아닷컴
l
2014.10.30
사망률이 높았다. 연구진은 "골절 예방을 위해 우유를 많이 마시라는 권고가 옳은지
의문
을 가질 수밖에 없는 연구 결과"라고 지적했다. 미국 농무부 등은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심장질환, 당뇨병 위험 등을 낮추기 위해 우유를 하루 석잔 정도 마실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이끈 칼 미카엘슨 ... ...
그는 어떻게 50년 공룡 미스터리를 풀었나
2014.10.23
네이처에 논문을 투고 했을 때 심사위원이 일부가 잘린 거 아니냐고
의문
을 제기할 정도였죠.” 데이노케이루스는 무딘 발톱으로 물가 무른 땅을 밟고 풀이나 물고기를 주워 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관장은 “공룡학계의 커다란 숙제를 해결하게 돼 고생물학자로서 매우 ... ...
해수면 상승 앞당기는 건 ‘그린랜드 빙하’
2014.09.29
매년 해수면상승 높이는 이렇게 녹는 빙하의 양보다 훨씬 많아 대기해양 전문가들의
의문
중 하나였다. 영국 캠브리지 스콧 극지연구소 소속 ’메리언 부거먼트’ 박사팀이 이끈 국제 공동연구진은 그린란드 빙하층의 해빙 현상을 설명하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 ...
전략 짜는 뇌 부위 따로 있다
2014.09.21
가지고 있다. 당시 이 교수는 사람이 늘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고 가정하는 경제학에
의문
을 품고, 2학년 때부터 부전공으로 심리학을 공부했다. 사람의 의사결정 과정에 흥미를 느낀 이 교수는 결국 신경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예일대 의대 교수로 재직하며 뇌과학과 관련된 벤처기업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전기분해해서 수소를 만들면 되지 않나?(2H2O → 2H2 + O2)’ 화학을 좀 아는 사람들은 이런
의문
이 들 것이다. 맞는 말이면서 동시에 틀린 말이다. 지금 우리가 얘기하는 건 화학이 아니라 ‘화학산업’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화학실험실에서 성공한 반응이라도 경제성이 떨어지면 말짱 꽝이다.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된다는 얘기가 아닐까. 2012년 학술지 ‘시냅스’에는 보다 정교한 실험으로 이런
의문
에 대한 답을 제시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일리노이대의 연구자들은 설탕을 배합한 사료와 인공감미료인 사카린을 배합한 사료를 준비했다. 각각은 서로 다른 향(포도와 바나나)이 나 쥐가 구분할 수 있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