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부대
술고래
오스트레일리아
술꾸더기
술꾸러기
술보
술푸대
뉴스
"
호주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유럽·
호주
도 수소경제로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개발에 배정하고 있다. 특히 수소운송기술에서 선두주자를 달리고 있다. 일본은
호주
에서 수소를 액화해 가져오는 방식을 올해 중 테스트하기로 했다. 일본 가와사키중공업은 이를 위해 지난달 15일 세계 첫 액화 수소수송선을 진수했다. 다만 이 수송선은 경유로 움직이는 데다 화학 공정에서 나온 ... ...
태양계보다 더 오래된 물질 운석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떨어진 운석의 약 5%에서만 발견된다. 크기도 작아 분석이 어렵다. 연구팀은 1969년
호주
에 떨어진 100㎏ 이상의 대형 운석 ‘머치슨’의 분말을 분석했다. 필드자연사박물관은 머치슨 운석 중 가장 많은 양을 할당받아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운석에서 태양 전 알갱이를 찾아내려면 조각을 가루로 ... ...
[中 폐렴확산] 사스와 유전적으로 닮았지만 확산 위험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이상 확산될 가능성이 낮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13일 전했다. 전날 이 언론은 중국과
호주
시드니대 등 국제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우한 폐렴의 원인으로 밝혀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을 일으켰던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유전적으로 89.1% 유사하다고 보도하기도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
2020.01.11
원래 위는 강한 산성의 소화액이 나오므로 미생물이 살 수 없다고 생각했는데,
호주
의 배리 마셜과 로빈 워런 등이 직접 자신의 몸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서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밝혔다. 배양액을 마셨는데, 위궤양에 걸린 것이다. 이들은 200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임산부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것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경우 기형아가 발생하거나 유산할 위험이 있다. 영국이나 프랑스 등 유럽이나 미국,
호주
에서는 특히 톡소포자충이 흔하다. 그래서 이들 국가의 산부인과 전문의들은 임산부에게 “상추 등 녹색 채소를 깨끗하게 씻어 먹으라”고 권고한다. 하지만 비교적으로 국내에서는 톡소포자충이 흔하지 ... ...
불타는
호주
…기후변화는 이미 당신 옆에 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행동할 리더십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런 리더십을 선택하는 유권자도 중요하다.
호주
인들은 화석 연료 정책을 밀어붙이는 정치인을 지지하지 말고 기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에게 투표해야 한다. ... ...
[
호주
대화재] 최대 피해자는 야생동물…국가 상징 코알라 30% 떼죽음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기후변화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해 지난해 말 유엔의 경고를 받기도 했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2일(현지시간) 시드니에서 남동부 지역의 산불 사태와 관련한 기자회견 도중 고개를 숙이고 있다. 시드니 EPA/연합뉴스 제공 ... ...
[
호주
대화재] "사실상 기후변화 소극적 대처가 낳은 인재"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동식물 종은 멸종했다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캥거루 한 마리가 5일 오전(현지시각)
호주
캔버라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수풀 앞을 뛰어가고 있다. 캔버라 EPA/연합뉴스 ... ...
[
호주
대화재] "모든 걸 태운 뒤 바다에 닿아야 멈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했고 이는 해안 근처에 산불이 날 확률을 높였다”고 말했다. 유칼립투스 나무가 많은
호주
수목의 특징도 산불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유칼립투스는 기름 성분을 공기 중으로 흩날리는 특성이 있고 잎이 건조해 불이 붙기 쉽다. 플래니건 교수는 “산불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선 없다”고 ... ...
변종잡초 잡는 국산 잔디제초제, 세계 최대 시장 美 진출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2016년 일분 농림수산성 등록 및 출시됐다. 올해 미국 시장 진출 확정에 이어 연내
호주
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상용화가 될 예정이다. 이혁 화학연 의약바이오연구본부장은 “출연연과 산업체가 공동연구로 세계적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가진 신농약을 개발해 선진국 시장에 진출했다”며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