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스페셜
"
결합
"(으)로 총 1,07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높아야 질소 원자 사이의
결합
을 끊을 수 있다. 여기에 질소 원자와 수소 원자 사이의
결합
이 빨리 일어나게 하기 위한 촉매도 개발했다. 마침내 두 사람은 200기압과 200도가 넘는 조건에서 희귀 금속인 오스뮴 가루를 촉매로 써서 암모니아 합성에 성공했다. 독일 최대의 화학회사 바스프(BASF)는 ... ...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KOITA
l
2014.08.08
환자들의 얼굴에서 피부 탄력과 주름이 개선되는 뜻밖의 효능을 발견하면서 화장품에
결합
했다. 레틴A는 각질층에 쌓인 늙은 세포는 떨어져 나가게 하는 반면 젊은 세포는 성장을 촉진시켜 피부를 젊은 세포로 회복하게 만든다. 레티놀은 레틴A에서 만든 유사품으로 공기 중에 쉽게 산화되는 단점이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
IBS
l
2014.08.06
성공했다. RNA 유전자가위를 구성하는 Cas9 단백질을 정제해 작은 RNA 분자인 '가이드 RNA'와
결합
시킨 후 전기 자극을 가해 세포 내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유전체 교정을 효과적으로 해 낸 것이다. 이 내용은 올해 '게놈 리서치(Genome Research)' 6월호의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그는 "우리 방법은, Cas9 ... ...
촉매 하에 레고처럼
결합
시켜 신약 개발한다
IBS
l
2014.07.09
이렇게 발굴된 활성물질들은 ABL 키나아제 야생형과 돌연변이의 활성부위에 둘 다 단단히
결합
해 약물내성을 보이는 백혈병 암세포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미생물 또는 암을 일으키는 타깃 단백질은 스스로가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항생제 또는 항암제에서 약물 내성이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
IBS
l
2014.07.07
거치면 유전정보가 보호받지 못하게 된다. 텔로미어가 사라진 염색체는 다른 염색체와
결합
하기 쉬워져 염색체가 융합하는 것과 같은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이러한 염색체 이상이 감지된 세포는 곧 파괴된다. 결국 텔로미어가 세포 파괴의 카운트다운 역할을 하는 셈이다. 텔로미어는 노화현상이 ... ...
안전하게 우주 비행하기
KISTI
l
2014.07.02
6월에는 러시아 우주정거장과 도킹(docking. 인공위성, 우주선 따위가 우주 공간에서 서로
결합
함)을 시도하던 무인 화물선이 충돌해 기내 기압이 떨어져 밀폐되기도 했다. 그렇다고 우주 탐사를 멈출 수는 없다.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세계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 우주 비행도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
IBS
l
2014.06.10
어떻게 특정한 작용을 일으키는지 분석하려면 이 짧은 시간 동안에 분자들이 어떻게
결합
하고 변형되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펨토초 레이저는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 중 하나다. 미시 세계를 매우 높은 정확도로 관찰할 수 있어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혈중 티오시아네이트(SCN-) 농도가 올라가는데, 그 결과 브롬의 작용을 방해해 설필리민
결합
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다. 실제로 골초들은 기저막이 변형돼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또 신장질환으로 정기적으로 투석을 받는 경우도 브롬 결핍이 되기 쉽다. 참고로 브롬은 음식을 통해 섭취되고 ... ...
'우주의 미스터리' 암흑물질 액시온을 찾아서
IBS
l
2014.05.14
밝혔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액시온은 1977년 원자핵 내에 있는 양성자, 중성자의
결합
력을 제대로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가상 입자다. 특히 현재 경희대에 재직 중인 김진의 석좌교수가 1979년 매우 가볍고 수명이 긴 액시온을 제안했다. 세메르치디스 단장은 "로체스터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밟을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에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런
결합
이 일어난 뒤 식물 단백질이 파괴됐다. 파이토플라스마 박테리아의 또 다른 숙주인 매미충(Aster leafhopper). 실험 결과 매미충은 정상 꽃이 핀 식물보다 엽화된 꽃이 핀 식물을 선호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