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자"(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07.04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면역세포 탐구한 수상자들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인터뷰] ... ...
-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변이' 논란 오리무중동아사이언스 l2020.07.03
- 개체군을 형성하는 현상이다. 나중에 형성된 개체군은 초기에 떨어져 나간 개체군보다 유전자 다양성이 떨어진다. 코로나19 ‘무주공산’이었던 유럽과 미국 동부에 G614가 들어가 확산하면서 D614의 빈도가 떨어졌다는 해석이다. 스파이크 단백질 614번 아미노산 변이의 두 유형을 비교한 ... ...
- "팬데믹 잠재성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국 돼지 농장에 널리 퍼져"동아사이언스 l2020.06.30
- 아형인 H1N1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다시 이 아형을 유전자 특성에 따라 세분화했다. 6개의 유전자를 ‘마커’로 선정한 뒤 이들의 변이 여부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6가지 '유전형'을 분류했다. 조사 기간 초기인 2011~2013년 돼지 사이에서 널리 유행한 유형을 ‘G1’ 유전형으로 분류한 뒤, 이와 차이가 ... ...
- 방역당국 "항체 조사 3000여 명 대상 진행 중…항체보유율 0.1%보도 사실 아냐"동아사이언스 l2020.06.30
-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도 계속해 항체 검사가 진행된다. 군에 입대하는 신병을 상대로도 유전자 검사를 통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조사한다. 특별히 지난 2월과 3월 많은 환자가 나왔던 대구와 경북 지역에 대해서도 7월과 8월 중 건강검진과 연계해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항체 검사를 진행하기로 ... ...
- [표지로 읽는 과학]북극 인류 생존의 일등공신 '썰매개'의 진화동아사이언스 l2020.06.28
- 지니고 대신 고지방 식단을 소화시키거나 지방 성분을 혈액에서 제거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9500년 전 조코프 지역 유적에서 발견된 북극곰이나 사슴의 동물뼈 성분, 그리고 사용한 석기의 재료(흑요석)을 보면 이들이 거의 1500km를 ...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 한번에 쥐의 파킨슨 병 완치했다동아사이언스 l2020.06.27
- 것이다. 푸 교수는 “PTBP1을 강제로 없에는 방법이 세포가 뉴런을 만드는 데 필요한 유전자를 켜는 데 필요한 유일한 신호라는 것을 발견했다”며 “파킨슨병 치료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나 뇌졸중 같은 뉴런이 소실되는 다른 질병들에도 이를 적용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 ...
- 비만과 치매 논란 종언? 50대 이상 31% 높아져연합뉴스 l2020.06.24
- 복부비만 여성의 치매 위험은 연령, 교육 수준, 혼인 상태, 흡연 여부, 유전적 요인(APOE ε4 유전자 보유 여부), 당뇨병·고혈압 등과 상관이 없었다. 하지만 남성 피험자에게선 복부 비만과 치매의 연관성이 여성만큼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UCL 역학 보건 연구소의 도리나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K진단'과 과학자들의 연대2020.06.24
- 시작했다. 사실 RT-PCR은 생물학자들에게는 꽤나 익숙한 기술이다. 대다수 연구자들이 유전자 발현 양 확인을 위해 실험실에서 많이 사용해봤을 터이다. 고민 끝에, 생물안전 2등급(BL2) 시설을 갖춘 실험실에서 ‘확실한 음성’을 판단할 수 있는 검출법을 떠올렸고, 두 편의 논문을 통해 세계 ... ...
- 8차례 음성 후 9번째 검사서 뒤늦게 양성 판정 나온 원인은연합뉴스 l2020.06.23
- 원인으로 꼽았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진단에 쓰이는 유전자증폭(PCR) 검사의 경우 제대로 된 검체만 확보하면 99%의 정확도를 보인다"며 "A씨의 경우 고령에 지병을 앓고 있어 가래 검체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었고 상기도(기도 중 상부) 검체 채취도 협조가 어려웠을 ... ...
- [표지로 읽는 과학]코로나19 바이러스 증식 막는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2020.06.21
- 들어가면 게놈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오픈리딩프레임(ORF)1a’와 ‘ORF1b’라고 불리는 유전자를 이용해 긴 단백질 사슬을 만든다. 이 단백질은 16개의 작은 비구조단백질(nsp)로 쪼개져 바이러스의 증식을 이끈다. 이 단백질이 쪼개지는 과정을 Mpro가 이끈다. 바이러스 복제와 전사에 주요한 역할을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