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21,910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06
최근 한 방송사에서 방영한 드라마 ‘착한여자 나쁜여자’ 에서는 치매에 걸린 노인 영란 씨(김용림 분)가 등장한다. 어제 일어난 일도 기억하지 못한 채 어린 시절의 기억에 갇혀 ... 그는 개인면담으로 학생 스스로 뇌혈관과 뇌의 뉴런간의 관계에 관해 연결점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연구결과도 있지요.끊임없이 변하는 지구의 생물, 인간은 멸종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미래의 지구엔 누가 살고 있을까요?플러스 과학 이야기영화 속 이야기 모두 사실은 아니야!특집-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 떠나다 39신기한 거대 동물을 만나고 온 여행. 영화보다 더 재미있었죠? ... ...
“아씨오~!”물건 찾아 주는 마법의 고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분명 쓰고 잘 두었는데 어디다 두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으면 참답답하죠? 하지만 머지 않아 그런 답답함이 사라질지 모르겠어요. 일본 도쿄대학교 연구팀이 물건을 ... 해요. 앞으로 이 기술은 로봇이나, 많은 자료 중에서 원하는 영상을 찾는 일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기대되고 있답니다 ... ...
“지구 최후의 날을 대비하세요~!”종자저장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보낼 계획이지요. 한 알의 작은 씨앗이 미래에는 지구를 살리는 커다란 생명력이 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사실 제가 쓰일 일은 없었으면 해요. 저도 지구 최후의 날이 오지 않기를 바라고 있거든요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4월 8일은 무슨 날일까요? 바로 한국 최초 우주인이 국제우주정거장으로 떠나는 날이에요. 이에 앞서 지난 1월 30일부터 2월 4일까지 우주인 후보 고산 씨와 이소연 씨가 러시아에서 ... 않은 우주센터를 가질 날이 오겠죠? 그 시작점이 될 대한민국 최초 우주인에게 뜨거운 응원의 박
수
를 ... ...
생각대로 되는 모자
과학동아
l
200806
생각만 하면 알아서 척척! 마음을 읽는 야구 모자가 나온다. 타이완 차오퉁대 리웨이 코 박사팀은 생각만으로 텔레비전이나 에어컨을 작동시킬
수
있는 모 ... 졸음이 오면 경고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며 “칩 하나에서 모든 기능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06
지오베-B는 유럽연합(EU)의 독자적 위성항법 시스템인 ‘갈릴레오 시스템’의 최신 기술을 시험하기 위한 두 번째 위성이다. 갈릴레오 시스템은 미국 위성항법시스템(GPS)과의 ... 향한 가속도의 성분 질점이 가속도 운동을 하고 있을 때 가속도는 속도에 평행하는 성분과
수
직의 성분으로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06
7. 지금까지 몇 가지 공감각 유형을 소개했습니다. 이 밖에도 특이한 감각의 연합이 다
수
보고됐습니다. 혹시 다른 사람은 모르는 자신만의 독특한 감각의 연합을 경험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움직이는 물체를 볼 때 자동적으로 어떤 소리가 들린다든지, 어떤 음식의 맛을 볼 때 특정한 형태가 ...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
과학동아
l
200806
고병원성 AI바이러스도
수
십 년이 지나면 저병원성으로 바뀌어 한국에서 사람과 공존할
수
있다. 1918년 스페인독감 대참사의 원인인 H1N1 바이러스는 90년이 지난 현재 일개 독감바이러스로 힘이 약해졌다. 현재 H1N1에 감염돼 목숨을 잃는 사람은 찾기 힘들다. 2003년 5세의 어린이를 감염시켰던 H9N2 ... ...
NASA 우주비행사가 찍은 최고의 지구사진 10선
과학동아
l
200806
숨이 턱 막힐 것 같은 황홀함은 없다. 눈이 어지러울 정도로 한껏 기교를 부린 흔적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번에 엄지손가락을 치켜들 만 ... 빙하인데, 가장 큰 줄기가 알레치 빙하다. 지질학자들의 연구 결과 최고
수
심 261m의 브리엔즈 호
수
는 이런 빙하와 강물의 작용으로 형성됐다 ... ...
이전
1006
1007
1008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