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수십 년 이상 저장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100~200년 정도까지도 가능하다는
연구
가 있다”고 말했다. 더구나 사용후핵연료의 열량이 대체로 30년마다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100년이 지나면 원래의 10%로 줄어든다는 것도 중간저장의 장점이다. 사용후핵연료의 최종 목적지인 영구처분장 부지가 그만큼 ... ...
총기사고 막는 스마트 총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손가락과 손바닥 지문을 인식해야 발사가 되는 등 다중 안전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연구
를 주도한 스티븐 테렛박사팀은 뉴저지 일부 주는 이미 기술을 적용하도록 법까지 개정해 둔 상태라고 밝혔다 ... ...
총에 맞아도 15초면 지혈 끝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이 방법이 매우 고통스럽고 지혈이 오래 걸려서 새로운 방법을 찾게 됐다고 밝혔다.
연구
팀이 개발한 엑스타트는 지름 3cm의 주사기 모양이다. 안에는 스펀지를 1cm정도로 압축한 알갱이들이 들어있다. 지혈할 상처 안에 이 알갱이들을 넣으면 피를 흡수하면서 부푼다. 시중에서 파는 요술행주와 ... ...
국내
연구
진, ‘월면섬광’ 현상 촬영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국내
연구
진이 달의 대기성분을 밝혀낼 수 있는 천체 현상을 찾아냈다. 달과 운석이 충돌할 때 부싯돌 두 개를 맞부딪쳤을 때 불꽃이 튀는 것처럼 빛나는 현 ... 분석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월면 충돌 관측 자료를 모아 달과 지구 주변의 운석체감시
연구
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근거를 찾고자 했다. 하지만 이 주장은 여성을 비하했다는 비난도 많이 받았다.대체로
연구
는 인류가 영장류 시절의 1부다처제에서 1부1처제를 향해 가는 추세라고 말하는 듯 하다. 하지만 어디에서도 완벽한 1부1처라는 확언은 없다. 인류의 짝짓기 형태는 여러 학자들이 이야기한 것처럼 복잡하다.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일어나지는 않는지도 검증해야 한다. 하지만 스탭세포가 사실이라면 줄기세포
연구
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특히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한 달이상 걸리는 반면 스탭세포는 일주일이면 만들 수 있어, 안정성만 검증되면 향후 재생의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철새 떼가 V자 그리며 날아가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맨 앞에서 나는 새와 뒤따르는 새들은 45°정도 비뚤어지게 줄을 서서 V자를 이뤘어요.
연구
팀은 또 뒤따르는 새들이 대장 새의 날갯짓의 박자에 맞춰 날갯짓을 한다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그 이유는 앞에서 나는 새가 날갯짓할 때 생기는 바람을 골라 타면 날기가 훨씬 쉬워지기 때문이지요. 새가 ... ...
고대어류 ‘틱타알릭’, 물속에서 이미 ‘뒷다리’ 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올라오게 진화했는지
연구
를 한답니다. 최근에는 미국 시카고대학교 닐 슈빈 박사
연구
팀이 캐나다 북부 엘즈미어섬에서 발견된 제 화석을 관찰한 결과 놀라운 사실을 알아냈어요. 저의 뒷지느러미가 육상동물의 뒷다리 역할을 할 만큼 튼튼했다는 점이지요. 그 전에는 과학자들이 생물이 뭍으로 ... ...
넥타이를 매는 방법은 몇 가지나 될까?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바꾼다고 해도 약 486년 동안 같은 매듭이 나오지 않을 만큼 많은 경우의 수다.하지만
연구
팀은 “넥타이가 최대 11번까지만 움직이는 경우에 해당하는 결과만 구한 셈”이라고 언급하며, “길이가 더 길거나 두께가 더 얇은 넥타이가 나온다면 넥타이를 매는 방법의 수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 ...
마임하는 수학자, 팀 샤르티에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개념을 설명해요.위상수학은 도형의 연결 상태나 공간과의 관계 등에 대해
연구
하는 학문으로, 흔히 도넛과 머그컵이 위상수학적으로는 똑같은 사물이라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요. 저와 타냐는 은색 튜브를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시키면서 재미있는 상황극을 꾸민답니다. 그 상황극을 통해 튜브의 ... ...
이전
1006
1007
1008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