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잘 뜨이지 않는다. 그러한 나비를 발견해도 쏜살같이 날아가 버린다. 그러나 숲속 음지가
계속
되는 오솔길에서는 제비나비가 둥실둥실 춤을 추듯이 음지의 오솔길을 누비며 날아가는 것을 볼수 있다. 이들 제비나비는 더운 여름철에 햇빛을 피해 음지를 찾아든다. 이 습성이야말로 그들의 생리다.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오늘날의 한국발명특허협회가 된 것. 사료계의 혁명 예고박노양씨는 현재도 발명활동을
계속
해 올 4월에 개최된 제15회 제네바 국제발명품 및 신기술전시회에서 사료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고단백질 요소사료’를 출품해 금상을 획득,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요소는 단백가가 가격이 싸나 ... ...
대우전자 컴퓨터사업본부장 안경수 이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의미의 기술선진국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아직 우리는 기술선진국이 아니며
계속
겸허한 자세로 배워야 하는 과도기에 불과하다”는 안이사의 사고방식은 ‘착실한 성장’이라는 모토로 대우전자 컴퓨터 사업본부 운영에 반영되고 있다. 경기고등학교 재학 시절 야구선수로 활약했던 ... ...
우주개발에서도「MADE IN JAPAN」시대가 올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미국을 위협하게 될 것이라고 보고있는 것 같다. 앞의 문장은 다음과 같이
계속
된다. “일본은 당국이 밝히고 있는 다소곳한 계획에비해 필요를 훨씬 웃도는 능력을 비행하드웨어와 지상시설에 투자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것을 활용하는 방법에대해 여러 전문가그룹이 활발한 제안을 ... ...
BASIC 강좌⑨ 퍼스널컴퓨터의 그래픽기능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꺾은선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막대그래프를 그려보자 꺾은선 그래프는 X값에 따라
계속
직선으로 연결해 가면 된다. 그러나 막대 그래프는 해당 Y값에 따라 막대를 그리는 과정을 더 작성해야 한다. APPLE SOFT BASIC의 그래픽명령에는 네모를 직접 그려낼 수 있는 명령이 없지만 직선을 그리는 ... ...
PC교실⑩ 2차 및 3차배열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이제 자신이 원하는 좋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도 기술을
계속
갈고 닦아서 컴퓨터의 프로그래밍에 자신을 갖게 되기를 바란다. 2차배열 이란 우리는 이미 배열에 대해서 공부하였으므로 그 용도나 사용방법을 익히 알고 있다. 즉 DIM X(8)으로 선언하면 배열명이 X인 ... ...
지구 최후의 오지 아마존과 그 유역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폐 아마존 ─ 오랜동안 바다를 살피다가 강에 도전한 동기는 무엇입니까? “32년 동안
계속
하여 세계의 바다를 살펴왔는데 바다가 조금씩 나빠져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바다에 영양을 운반해주는 강이 그 기능을 잃어가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읍니다. 특히 아마존은 ... ...
취하지 않게 하는 물질을 발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스위스의 다국적화학공업회사 ‘호프만 라로체’사는 알콜에 취하지 않는 물질을 개발해 Ro15─4513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미국 국립정신병연구소의 ‘스티븐 폴’박사팀은 이물질을 ... 못했다. 그러나 연구그룹은 어떻게 인간의 알콜중독 치료에 응용해 보려고 연구를
계속
하고 있다 ... ...
핵위험도피, 새로운 환경건설 지하세계의 실험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페루산 토마토와 갈라파고스 제도의 짠물에서 서식하는 토마토를 교배 시키는 실험도
계속
하고 있읍니다.” 고도의 기술을 갖고있는 전문인력과 그들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위와같은 일련의 생태계 연구와 실험들은 조만간 성공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물론 현재로서는 제한된 몇 종류의 채소류와 ... ...
한국과학기술의 미래 자립이냐 종속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시발택시를 만든 것이 최초였다. 그 후 자동차 산업은 가파른 커브를 그리며 성장을
계속
해 금년에는 45만대 이상의 수출계획을 세울정도의 자동차수출국으로 발전했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단계는 크게 여명기인 관련 기술 축적기(1955~61), 기술도입기(1962~74), 도입기술을 소화하여 자기것으로 만드는 ... ...
이전
1007
1008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