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2 매킨토시의 응용분야 탁상출판과 멀티미디어 개념 창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교육)라고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흔히 코스웨어(course ware)라 불리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이 시급한 실정이다. 즉 교사가 자신의 학생들을 가르칠 교재를 직접 제작할 도구(tool)가 필요하다는 얘기다.매킨토시를 교육 분야에 사용하려는 시도는 매킨토시 발표 당시부터 하이퍼카드(Hypercard)라는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에 따라 기초과학을 전공한 물리학자들도 산업현장에서 곧바로 쓰이는 기술을
개발
하는데 동원된다. 한편 전자공학의 경우 전자제품들을 직접 생산하는 생산기술 뿐아니라 제어이론 물성이론 통신공학 등 이론적인 작업도 중시된다.첨단과학, 허점은 없는가?과학기술의 발전은 필연적으로 ... ...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2m에 이르는 것도 있고 총 길이는 수천㎞에 달한다.마침내 지난 89년에는 영국정부의 해외
개발
부가 운영하는 자연자원연구소(Natural Resources Institute))의 톰 우드와 피터 브린 두 사람이 보츠와나 공화국의 크가파마디 지역을 조사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은 곧 흰개미가 토양을 변화시키는 생물학적 제제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공해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가지 약품이 등장하고 있다. 또 예방법도 여럿
개발
돼 있지만 아직 이렇다할만한 결정적인 특효약은 없는 형편이다. 이런 사정때문인지 최근에는 건강식이라는 것이 대중의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그것도 역시 어딘가 미흡하다고 여길 수 밖에 없다 ... ...
식물에서 새로운 연료 추출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들의 목적은 햇빛 물 이산화탄소와 같은 값싸고 흔한 천연재료를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개발
하는 것이다.이들의 노력이 성공한다면 이론상으로는 이산화탄소로 인한 온실효과의 위협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태양에너지를 수소 등의 액체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는 광합성분자를 ... ...
3 매킨토시 제품의 계보 애플신화는 재현되고 있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매킨토시 LC는 저가격에 컬러 기능을 갖춘 것으로 SE와 Ⅱ 계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개발
됐다. 사운드를 입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디지타이저를 기본으로 내장하고 있어 시스템 자체의 사운드까지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업계에서는 LC를 91년 PC 산업계에 돌풍을 몰고 올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대칭이 펄조개 등은 인공진주의 모패로 사용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서둘러
개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패의 대량 사육이 가능해야 한다.석패과 패류는 반드시 유생을 어체(魚體)에 붙여야만 유생이 발생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유생은 물고기의 지느러미나 아가미에 붙기 위해서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것도 서울대 포항공대 KAIST 등 '선택된' 몇 곳에 그치기 때문이다. 또 연구주제가 기술
개발
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 이학계의 경우는 아직까지도 기업투자에서 소외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의 투자 지원정책이 순항한다면 유학이냐 국내진학이냐의 고민은 예전과는 다르게 풀려나갈 것으로 보인다. ... ...
두발 로봇 드디어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한다.신세대 로봇
개발
의 또 다른 방향은 인간이 할 수없는 작업을 대신해주는 로봇을
개발
하는 것이다. 가령 도쿄 소방청이 구상중인 소방차로봇이나 원자로의 내부를 청소하는 로봇, 해저에서 광물을 캐내는 로봇 등이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망원경을 애들이 갖고 노는 장난감 정도로 생각합니다. 이런 과학기술 마인드로는 우주
개발
은 불가능합니다." 이혁기씨는 국민학교 4학년때부터 잡지에 난 망원경사진을 보고 이를 직접 만들어 보려고 문구점이나 안경점을 누비기 시작했고, 친구집에 가서도 망원경 재료가 될만한 것이면 ... ...
이전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
10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