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쉽고 재미있게 과학공부를 잘하려면…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관찰하여야 할 사항이 많다. 교내에 있는 수목의 변화(겨울눈 싹 잎 꽃 열매)를 1년 내
계속
관찰할 수 있고 소풍갔을 때에도 관심만 갖는다면 많은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쌀이 쌀 나무에서 얻어진다는 웃지못할 도시 학생의 이야기도 있었다.3학년에서 '지구와 우주' 단원은 평소에 꾸준히 천체 관측을 ... ...
'라보아제'가 몰고온 화학혁명 연금술에서 근대화학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양적으로 크게 모습이 달라졌다. 이를테면 20세기초에 합성섬유가 출현한 이래
계속
개량과 발전을 거듭하더니 드디어 합성섬유 시대를 열어 놓았고, 화학의 의학에 대한 연구는 합성의약 시대를 열어 놓았다. 또 베이크라이트를 필두로 합성수지 시대가 시작되었고 합성고무도 대량으로 이용하게 ... ...
볼링 게임 관리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아직 자신이 생기지 않았다고 할지라도
계속
해서 인내와 용기를 갖고 공부하기를 바란다. 이번호에서는 서브루틴의 사용방법을 완전히 익히고 함수정의문과 논리연산자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앞에서 우리는 서브루틴에 대해서 자세히 배웠으므로 ... ...
AIDS 왜 동성연애자에 많은가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바뀐다.3. 설사AIDS환자는 내장조절이 안 된다. 다소 배탈난 정도를 넘어 물같은 설사가
계속
된다. 설사는 에너지나 비타민 흡수를 방해하여 더욱 체력을 저하시킨다. 그래서 다른 균의 침입을 쉽게 한다.4. 입안의 통증AIDS환자에 특유한 입안의 통증은 과음한 뒤 잠에서 깰 때의 느낌같다. 입술이나 ... ...
종합진단 기로에 선 선택-개발이냐 보존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가장 뒤늦게 지구에 등장한 인류는 지구 생태계를 가차없이 교란하고 있다. 제3세계는 발전과 보존 중 무엇을 택할 것인가.46억년의 지구의 역사를 46일로 압축해 생각해 ... 힘으로 생태적 균형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과연 0.2초 전에 시작된 산업화 사회가 언제까지
계속
될 것인가 ... ...
파괴되는 삼림 벌거벗은 대지는 보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암부클라오' 댐의 수명이 30~60년 단축되었다.이처럼 큰 피해에도 불구하고 벌채는
계속
되고 있다. 대부분 발전도상국인 열대림 보유국이 경제개발에 몰두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마존 저지대의 대규모 벌채를 놓고 온대선진국은 대기환경 변화와 특정 동식물의 멸종 우려를 경고하는데 대해 ... ...
우선 사용목적을 고려한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말릴 만한 상황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IBM PC의 사용자는
계속
늘고 있고 또 앞으로도
계속
증가되어 갈 것이다. 이 늘어나는 사람들에게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와 쉽고도 충분한 교육이 베풀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너무도 다양해서 일일이 나열하기도 어려운 한글처리 방식이 통일되고 ... ...
베스트 셀러가 된 소니 스토리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키우고 전세계적으로 이름을 떨치게한 트랜지스터라디오의 경우 미국제품한테 처음에는
계속
밀리기만했다는것. 그러나 모리타는 '모터롤라'나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등 저명회사를 방문한뒤 "결국 소니가 이기고 만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그는 이들 회사를 보니 경영자는 호사스런 방에서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학교는 자리가 없어 걱정이 되긴 됩니다. 이러한 과도기적인 시기가 아무래도 3~4년은
계속
될테니까요.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도 물질특허가 실행되면 기업체 특히 제약회사 같은데서 박사학위자를 찾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기업측의 입장에서도 박사들을 과감히 고용,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 ...
알버트 센트-죠르지 생명현상의 가장 광범한 연구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센트-죠르지는 수상한 뒤 거의 반세기라는 오랜 세월 동안 정력적으로 연구를
계속
해 왔으며 이런 집념은 그의 독특한 직관력과 함께 3백여명에 이르는 자연과학분야의 노벨수상자들중에서도 가장 이색적인 과학자의 한사람으로 손꼽히고 있는 것이다 ... ...
이전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
10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