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45건 검색되었습니다.
발효식품으로 당뇨, 지방간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4
것이다. 임 박사는 “이 연구는 천연물로 당뇨와 간질환을 치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
한 데에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산업화를 통해 두 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동국대 DU ACTIVE(학교생활우수자)전형으로 생명과학과 합격한 소윤섭 씨
동아일보
l
2013.05.14
자기소개서에 각각 자세히 녹여냈어요.”(소 씨) ‘일상 기록물’로 갈등관리 에피소드
발견
최근 입학사정관전형 평가항목 중 ‘인성’ 부분이 중요해졌다. 지원자의 인성은 자기소개서의 ‘배려·나눔·협력·갈등관리 실천 사례’ 항목으로 평가된다. 면접에서도 지원자의 태도, 마음가짐 등에 ... ...
달나라 물, 지구에서 보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5.14
주장이 가장 유력했다. 이 가설은 달에 있는 물 입자의 중수소 비율이 태양계 혜성에서
발견
되는 물의 중수소 비율이 일치한다는 일본 홋카이도대학 유리모토 히사요시 교수팀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실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달 표면의 물 입자의 중수소 비율이 ... ...
암이 진짜로 완치됐다고? 끝나도 끝난 게 아니다
동아일보
l
2013.05.13
재발할 때 치료는 까다롭다. 하지만 이차암은 빨리
발견
하면 치료가 더 쉽다”며 “초기
발견
을 위해 최초 발생 부위 외에의 다른 곳까지 더 적극 검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식사 관리다. 비록 완치됐다고는 하더라도 수술이나 항암치료를 받느라 지쳤으므로 ... ...
정수리가 대머리라면, 심장병 조심하세요
과학동아
l
2013.05.13
증상이 없거나 약해서 모르는 사이에 급속도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초기에
발견
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최근 대머리 유형으로 심장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연구가 나와 화제다. 토모히데 야마다 일본 도쿄대 약학대학원 박사는 대머리의 유형과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관계를 분석해 ... ...
원자핵이 서양배처럼 생겼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혈액 샘플에서 다양한 HIV변종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광범위중화항체(bNAbs)’가
발견
되기도 했다. 이번에 미국 스크립스 연구소(TSRI)와 국제에이즈백신추진본부(IAVI)의 연구팀에 의해 디자인된 ‘eOD-GT6’ 면역원은 중화항체 VRC01을 생성하는 B세포와 결합해 항체의 활동을 돕도록 설계됐다. ... ...
단순한 치아 이물감, 그냥 놔두면 금간다
동아일보
l
2013.05.13
크다. 이 때문에 다른 치통과의 차이점을 확인하려면 음식을 씹고 뗄 때를 비교하면 조기
발견
에 도움이 된다. 양성은 교수는 “평소 통증이 없다가 음식을 씹고 뗄 때 시큰거린다면 치아에 금이 간 것은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두 교수의 연구 결과는 미국 ‘치내요법 저널’ 4월호에 ... ...
말라리아 '이이제이(以夷制夷)'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2
배양한 결과, 세 그룹 보두 9번째의 세대의 모기까지 전부 이 균에 감염되었다는 사실도
발견
했다. 연구팀은 이 균의 전염율이 높기 때문에 적은 수의 모기에게 이 균을 감염시키더라도 전염병을 예방하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쯔용시 박사는 “이 연구는 모기의 성체뿐만 ... ...
[채널A] ‘살인 진드기’ 국내서도
발견
, 야외 나들이 때 조심해야
채널A
l
2013.05.10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작은소참진드기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가
발견
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올해 초 일본에서만 7명을 숨지게 했고, 치사율은 최대 30%에 이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전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작은소참진드기의 최대 3%가 이미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 ...
음식 냄새 기억은 학습의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했다. 그 결과 5가지 냄새를 맡은 제브라 피쉬의 뇌가 더 활발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브라우바흐 박사는 “사람의 뇌 속 감각기능 메커니즘을 밝힐 예정”이라며 “기억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알츠하이머 같은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
1020
10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