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인터뷰] 백악기에도 새는 노래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소리로 새끼들을 한데 모으거나 위험을 경고하기도 한답니다. 그럼 공룡도 노래할
수
없었니? 깃털이 달린 공룡 화석들이 많이 발견되면서 조류가 공룡으로부터 진화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지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조류와 공룡이 다른 소리를 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어요. 공룡 화석에서는 명관의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지름 5cm 정도의 단단한 공처럼 생겼지요. 그러나 칠엽
수
의 한 종류인 서양칠엽
수
의 열매는 둥그렇고 딱딱한 겉껍질에 날카로운 가시들이 달려 있어서 밤과 비슷해요. 열매도 역시 밤과 비슷하게 생겼답니다.우리나라에서는 말밤을 먹지 않아요. 하지만 외국에서는 독성이 있는 성분을 제거하고 ...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참가한 300여 명의 친구들과 함께 마지막 단체사진을 찍을 때는 한마음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답니다.“우리가 미래 IT세상의 하인슈타인! 내년에 또 만나요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담당하는 역할을 알
수
없으니 그 후 생태계가 갑자기 망가진다 하더라도 이유조차 찾을
수
없지요. 즉, 신종을 찾고 관리하는 것은 생태계를 이해하고 보호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일이랍니다.2016년의 신종은 바로 나!세계 각지의 많은 과학자들은 지금도 신종 찾기에 도전하고 있어요. 그 결과 ... ...
[과학뉴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깡충거미 귀는 소머즈 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알아봤어요. 그 결과 80Hz의 소리를 65dB의 크기로 들려 줬을 때, 최대 3m 거리까지 들을
수
있었어요. 또한 깡충거미는 80Hz의 소리를 0Hz나 2000Hz 소리보다 각각 6배, 3배 더 잘 감지했답니다.길 멘다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깡충거미도 청각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최초로 밝혀졌다”며, “다른 청력을 ... ...
INTRO. 우주 쓰레기 청소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우주쓰레기는 아주 작은 것도 굉장히 위험해요. 작은 볼트와 너트도 우주선을 파괴할
수
있는 위력을 갖고 있지요.위험천만한 우주쓰레기를 막기 위해 발 벗고 나선 과학자들의 노력을 함께 만나 볼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쓰레기 청소 대작전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Part 2.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끈적끈적한 접착제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접착력이 더 센 것으로 나타났다.그 이유는 분자량에 있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커질
수
록 반데르발스 힘이 증가한다. 전분의 주성분인 다당류의 분자량은 180g/mol인 반면, 젤라틴은 약 2만g/mol로 100배 가량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보통 동물성 접착제가 식물성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더 강하다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많다고 하니, 나와 같은 홍채 모양을 가진 사람은 거의 만날
수
없는 거예요. 만약 경우의
수
가 가장 많은 고유 정보 DNA를 이용한 기술이 개발된다면 보안이 가장 뛰어난 생체인식 기술이 될 거예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교
수
는 “그동안 걸음걸이는 질병이 있거나 걸음걸이가 아주 독특할 때만 활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일반적인 신체 특징에 따라 걸음걸이가 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진다면 범인을 찾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 될 것이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내 몸이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스웨덴 현지시간으로 지난 10월 3일부터 5일까지 2016년 노벨과학상
수
상자가 차례로 발표됐어요. 올해 노벨과학상은 세 분야 모두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아주 ... 이용하면 몸에 쌓인 중금속을 모아 밖으로 배출시키거나 암세포 치료제 등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답니다 ... ...
이전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
1020
1021
10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