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과 인플레이션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위해서 우주는 초기에 ${10}^{60}$분의 1 오차로 평탄해야 한다. 왜 초기의 우주가 이
정도
로 평탄했을까.이들 문제를 해결하는 해결사가 바로 1980년 미국의 구스가 제안한 급팽창(인플레이션)이론이다. 빅뱅 후 ${10}^{-35}$초 지났을 때 우주는 얼음이 녹아 물이 되듯이 급팽창이라는 상태변화를 ... ...
절개수술 없이 신장결석 제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이 의료기기는 1980년 독일에서 처음 개발됐는데, 신장결석 환자는 이 기기 덕분에 1시간
정도
통증없이 치료받은 후 퇴원할 수 있게 됐다.체외 충격파 쇄석기는 어떻게 몸속 돌을 수술하지 않고도 제거하는 것일까. 이 기기의 시술법은 몸속 결석에 총을 쏘는 것과 같다. 다만 총과 다른 점은 총알 ...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내려간다. 그러나 체구가 크면서 겨울잠을 자는 극한지방의 곰은 정상체온보다 5-6℃
정도
만 내려간다.큰 체구의 동물은 왜 작은 체구의 동물보다 정상체온에서 덜 떨어지는 것일까.겨울잠을 자는 동물에게는 봄이 됐을 때 얼마나 빨리 정상체온으로 회복하느냐가 중요한 관건이다. 그런데 체구에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다른 어느 질병보다도 한국에 환자가 가장 많은 질환이다. 약 8%의 인구가 만성 감염자일
정도
다. 반면에 미국이나 유럽의 선진국에서는 B형 간염 환자가 거의 없어 정부의 연구지원이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B형 간염 바이러스 분야는 우리가 가장 경쟁력 있게 연구할 수 있는 ... ...
먹을거리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육식동물은 매우 단순하고 짧은 소화기관을 갖고 있다. 소화기관의 길이는 몸길이의 3배
정도
여서 빨리 배설하게 돼 있고, 그 내부의 모양도 매우 매끈해 동물의 살이 붙기 어렵다.이에 반해 초식동물은 섭취한 식물을 천천히, 완전히 소화시키기 위해 소화기관이 몸길이의 8-10배까지로 상당히 길다. ... ...
식스 센스 vs 디 아더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높은 수준의 강신술을 갖고 있다. 서양의 영매는 주변을 떠도는 귀신의 말을 전해주는
정도
지만, 우리의 무당은 귀신보다 수준 높은 신령과 계약을 맺어 잡신을 쫓거나 국가의 중대사를 예언하기도 한다.심령주의는 겉으로는 과학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수많은 오류들을 갖고 있다. 유령의 사진을 ... ...
4. 10년 후 커다란 강 하나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총량에서 증발한 양을 빼면 된다. 우리나라의 사용가능한 최대량은 1년에 7백31억m3
정도
로, 이 중 2백60억m3을 취수해 사용하고 있으므로 물 스트레스 지표는 35.6%다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생리적 조절작용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 신체 각 부위의 피부온도다. 생리적 조절작용의
정도
는 부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피부온도는 부위에 따라 다르다. 동상은 체온유지 위한 고육책때문에 때로는 심부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말초조직은 희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운 환경에 오래 노출돼 ... ...
전자총 세례받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겨울철 정전기는 휴대폰에 치명적이다. 정전기는 순간적으로 1만-3만V의 전압을 낸다. 이
정도
의 순간 전압은 좁은 공간에 밀집된 휴대폰의 부품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때문에 휴대폰은 겨울철 정전기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제작돼야 하며, 이에 대해 EMS 테스트를 받는다. 전자총으로 휴대폰의 ... ...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1895년 피에르는 뒤늦게 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했다. 그의 논문은 온도에 따라 물질 자성의
정도
가 달라진다는 내용으로, 오늘날 ‘퀴리의 법칙’으로 불린다. 이때부터 피에르는 프랑스와 여러 나라의 과학 학회에서 활발하게 논문을 발표하면서 점점 국제적 명성을 얻어갔다. 영국의 켈빈 경은 큰 ... ...
이전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
1020
1021
10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