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4,19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패턴암호 경우의 수는 몇 개일까?
수학동아
l
201112
설정을 하면서 배경화면을 잠그는 암호를정할 거예요. 제가 만든 스마트폰은 숫자 4
자리
로 된 암호를 씁니다. 0000부터 9999까지 암호를 만들수 있어 경우의 수는 총 1만 개지요. 생각보다 원리가 간단한가요?말했잖아요. 저는 간단한 걸 좋아한다고요! 그런데 경쟁사의 스마트폰은 패턴암호라는 ... ...
Part 2. 심리학자, 명상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112
주장해 만든 강좌다. 기자는 명상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이 기다리고 있는 강의실로
자리
를 옮겼다.“처음엔 살짝 의심이 들었지만 수업이 진행되면서 명상이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화가 나는 상황에서도 호흡 명상을 하면 마음이 가라앉아 충동적인 반응을 하지 않게 되죠.”(경제금융학부 1 ... ...
인공위성 수명 연장의 꿈
과학동아
l
201112
보통 기능이 완전히 정지하기 전에 마지막 남은 추진체로 고도를 200km 위로 올려 그
자리
를 벗어난다. 이 궤도를 ‘우주 무덤’이라고 한다. 고장난 정지궤도위성은 무덤으로 가지 못하는데, 정비위성이 도와줄 수 있다. 장례식까지 꼼꼼히 치러주는 셈이다.인공위성을 수리하는 데서 더 나아가 ... ...
사람도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112
2mm~1.0mm 두께로 표피와 진피층만 재취한다. 뼈도 팔이나 다리처럼 큰 뼈만 적출한다. 빼낸
자리
에는 뼈 모양의 나무를 넣어 외관상으로는 마치 뼈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➊ 조직을 채취하기 전균 배양 검사를 통해 조직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확인한다. ➋ 채취한 뼈의 크기를 재고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12
엔진이 어는 것을 막아 주는 부동액과 비슷한 물질인 글리세롤을 번데기나 애벌레의 가장
자리
에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땅속에서 월동하는 종들은 월동 조건인 온도와 습도를 사육 상자에서 제대로 맞추기는 어렵다. 야생 상태에서 많은 애벌레들은 땅속에 번데기 방을 만들거나 애벌레 상태로 ... ...
화학 - 원자 속 전자의
자리
과학동아
l
201112
원소 주기율표는 110여종의 원소를 화학적 성질에 따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이러한 원소의 화학적 성질은 원자 내의 전자 배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번 호에서는 다전자 원자에서의 전자 배치에 대해서 알아보자. ...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
과학동아
l
201112
가더군요. 담당 교수님을 붙잡고 ‘인공지능이란 뭐냐’고 여쭙자 한 마디로 대답하고
자리
를 뜨셨는데, 저는 그 말씀에 한참을 혼자 웃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는 교수님의 재치가 재미있어서 웃었을 뿐이지만, 나중에 프로그래머로 일을 하게 되니 그 때 교수님의 그 농담이 뼈저리게 ... ...
'요리왕' 링링의 꿈
수학동아
l
201111
퍼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주제는 돼지고기! 문제는 저울이 수평이 되도록 물음표
자리
에 돼지고기를 올려놓는 것 입니다.”“첫 번째 문제와 비슷하구나. 저울 한 칸의 길이는 모두 같다고 했으니까 이렇게 고기를 올려놓으면 쉽게 수평이 맞춰지는구나. 자~, 빨리 요리를 시작하자.” 4 요리대결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1] 유리수는 모두 순환소수인가?
수학동아
l
201111
수 있는 수를 뜻합니다.유리수에는 자연수와 정수는 물론이고, 소수점 아래 몇 번째
자리
에서 끝나는 유한소수도 포함되지만 논의에서 제외합시다. 위질문은 0.3434…와 같이 소수점 아래에서 끝나지 않는 무한소수인 유리수는 반드시 34와 같이 적당한 수가 계속 반복되는가라는 질문입니다.결론부터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1111
함께 국새를 제작한 손근형 연구원은 “국새를 만들 때 합금을 붓고 도 책임연구원이
자리
에 주저앉아 대성통곡 했다”고 전했다. 그동안의 노력이 결실을 거둘 것을 예감했기 때문이다. 국새를 만든 건 이번이 벌써 5번째. 제1대 국새가 행방을 감추자 2대 국새를 만들었다. 2대 국새는 1963년부터 199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