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반도체 설계와 멀티미디어 시스템 설계에 관심이 많다. 현재는 숭실대 IT대학 전자정보공학부 교수이며 과학소설가, 한국문인협회 회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국내 최초 컴퓨터통신망 연재 과학소설 ‘아틀란티스 광시곡’을 비롯해 다수의 과학소설 및 과학칼럼을 출판하고 연재했다. sslee@ssu.ac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쓸모는 없을지언정 반드시 재미는 있는 물건들을 만들죠. 그 주인공은 바로 과학공학 콘텐츠 제작소 ‘긱블’입니다. 긱블은 자신들이 직접 기획하고 제작한 물건들을 영상에 담아 업로드하는 채널을 2017년부터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구독자만 40만 명이 넘습니다. 이번에 또 다른 ‘신박’한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해커의 공격에 노출된 사실이 여럿 드러났다. 시레야스 센 미국 퍼듀대 전기및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의료기기는 신호를 암호화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인체 내 의료기기에서 나오는 모든 통신 신호를 차단하는 장치를 손목에 착용하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이라고 말했다. 센 교수는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못한 불확실성이 있다. 하지만 나로호와 같이 수많은 부품이 연결된 복잡한 기계에 대해 공학적인 시험을 수행하다 보면 크고 작은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 또한 연구개발의 과정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앞으로 계속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아닐까 ... ...
- 슈뢰딩거 캣의 이유있는 외출, 신비한 양자컴퓨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수학과 교수), 배준우(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부교수), 심재윤(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참고 이준 ‘양자컴퓨터 R&D 현황과 전망, 토비 큐빗 ‘Google and IBM are at odds over ’quantum supremacy’-an expert explains what it really means(더 컨버세이션 ...
- [교육뉴스] 수학 실력에 성별 차이 없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철없는 말은 여론의 뭇매를 맞았지만, 결과적으로 여성은 생물학적으로 수학, 과학, 공학을 잘하지 못한다는 사회적 통념을 낳는데 일조했습니다.이 통념이 잘못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제시카 캔턴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뇌인지과학과 교수팀은 3~10세 사이의 여아 55명, 남아 54명을 ... ...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행성방위학회’는 소행성 충돌 사건을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전세계 천문학자와 공학자가 2년에 한 번씩 여는 학회예요.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을 관측하고 충돌을 피하는 방법을 공유하지요. 가상의 소행성이 지구에 떨어진다고 가정해 모의 훈련도 해요. 올해는 4월 29일에서 5월 3일까지 ... ...
- [과학뉴스] 실험동물 희생은 그만, 이제는 ‘장기 칩’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칩 전문기업 에뮬레이트와 얀센 파마슈티컬 연구개발(JRD), 하버드대 비스(Wyss) 생체모방공학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은 사람, 쥐(래트), 개의 간세포로 만든 장기 칩의 독성 시험 유효성을 검증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 의학’ 11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에서 간 독성으로 시험이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걸린다. 동결건조 식품이 열건조 식품보다 2~3배 비싼 이유다. 박성희 서울과기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적외선 복사에너지나 마이크로파로 물 분자의 진동을 유도해 승화 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며 “1인 가구가 늘면서 가정간편식(HMR·Home meal replacement) 등에 동결건조 기술이 더욱 ...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덩치가 크고 느리게 움직이도록 주문했다. 대회 총책임자인 김종환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2018년 제1회 대회에서는 선수 5명의 포지션을 자유롭게 세팅할 수 있게 했더니 공격수가 많은 팀이 무조건 유리했다”며 “4명이 공격하고 1명이 수비하는 팀은 5명을 전부 공격수로 내세워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