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정신과 원장이 되어 환자를 치료해봄 HELP ME!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비밀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대화를 통해 환자의 마음을 다루는 건 물론, 뇌과학도 잘 알아야 하지요.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큰 유망한 학문이라 생각하니,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랍니다 ... ...
- [디지스트@융복합파트너] “효율적인 연산과 연결을 연구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2월 1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E3동에서 곽정호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를 만났다. 곽 교수는 본인이 이끄는 연구실, ‘Intelligent Computing and Networking Lab’을 “컴퓨팅과 네트워킹을 좀 더 똑똑하게 만드는 법을 연구하는 . ...
- [이달의 책] 경쾌하게 반박한 동물에 관한 속설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인간은 스스로를 객관적인 기준으로 삼길 참 좋아한다. 우리는 흔히 개의 후각 능력이 인간의 몇 만 배라거나 박쥐의 가청 주파수 영역이 인간보다 넓다는 사실을 이 동물들의 특별한 능력으로 강조하곤 한다. 물론 이런 표현에는 개나 박쥐가 인간보다 뛰어나다고 인정하는 의미도 있다. 하지 ... ...
- 수학자와 수학 교사 부부는 자녀에게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교수는 수학자, 김 교수의 아내는 전경아 대전과학고등학교 수학 교사다. 수학교육과 출신인 수학자, 수학 교사 부부는 뭔가 특별한 수학 교육 비법을 갖고 있지 않을까. Q. 아빠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딸 맥북, 논문이요. 거실에 아빠 전용 1인용 소파가 있는데, 맥북으로 논문을 ... ...
- [Data Math] 여성 건강 책임지는 개발자 '해피문데이 부혜은 CTO'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진학한 이유가 있나요?어릴 적 꿈은 수학자, 과학자와 수학 선생님이었어요. 수학, 과학을 잘하고 좋아해서 막연히 생각한 진로였지요. 대입을 앞둔 고3 시절, 어느 과를 지원할지 한참 고민했는데, 담임 선생님의 권유로 수학과를 택했어요. 특히 고3 여름방학 때 POSTECH에서 진행하는 캠프에 ... ...
- 첫 번째 질문 I 인류는 무한을 어떻게 떠올리게 됐을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수학자 무한을 단순히 큰 수라고 생각하는 분도 계실 텐데요. 사실은 어떤 정해진 큰 수를 넘어서 ‘영원히 끝나지 않는 상태’라는 어려운 개념이에요. 그럼 인류사에서 무한에 관심을 갖고 탐구하기 시작한 건 언제부터일까요? 인문학자 유한한 삶을 사는 인간이 무한에 대해서 생각하기 시작 ... ...
- [ 2022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있었다2022, Kang, Dong-In All Rights Reserved. ❋ 본 작품은 동아사이언스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지원한 ‘2022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공모전에는 483개의 작품이 출품됐으며 대상, 최우수상 등을 비롯해 우수작 25개를 뽑았습니다. 수상작은 을 통해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 ...
- [킹앤카] 벚나무가 가장 많은 지역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2023년 킹앤카에서는 KAIST 수학 문제 연구회(수문연) 회원 안녕하세요. KAIST 수리과학과 2학년이자 수문연에서 킹앤카를 담당하고 있는 장지연입니다. 어느덧 따뜻한 4월이네요! 여러분은 벚꽃을 구경하셨나요? 저는 벚꽃을 보며 문득, ‘우리나라의 평균 벚꽃 개화 시기는 언제일까?’, ‘벚꽃의 ... ...
- [지구사랑탐사대 X SK하이닉스] 내가 만든 데이터가 생물을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마땅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지사탐 데이터는 그렇지 않았어요. 특히, 시민과학자들이 일상 속에서 마련한 데이터라는 점에서 절대적인 데이터양도 늘릴 수 있어 유의미하다고 생각했어요. 다만, 이미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유명한 꿀벌 같은 생물 데이터는 없어서 보다 다양한 종에 ... ...
- 전 세계가 함께 추적한다! 우주 쓰레기 감시시스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이후 실시간으로 관측 데이터가 다른 나라와 공유되죠. 그때부터 전 세계의 과학자들이 힘을 합쳐 충돌이나 지상 추락 가능성을 계산해요. 그러면 위험도에 따라 사람들에게 알려 우주 쓰레기로 인한 피해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우주위험연구실 최은정 실장은 “아무리 중요한 인공위성이라도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