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렙!디지털 리터러시] 검색왕이 되는 치트키 알려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그 단어가 사용된 이미지, 글자, 영상 등을 찾아줘요. 흔히 사용하는 포털사이트인 다음, 구글, 네이버가 이러한 검색엔진 기능을 제공하고 있죠. 하지만 검색엔진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을 때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찾는 지름길이 있어요. 정보 검색 꿀팁, 무엇일까요?첫째, 문장이 아닌 핵심 단어로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7만 7000종의 표준유전체를 모두 확립할 계획이다. 1차 결과로 이번 논문을 발표하고, 다음 단계로 약 5000만 년 전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목(order) 수준에서 대표종 260종을 뽑아 표준유전체를 구축하고 있다. 공통조상에서 영장목, 고래목, 식육목 등으로 분화된 요인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 ...
- [SF소설] 랄로랑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자그만 전구를 켜는 것도 모두 하나의 일부인 거지.”「저들이 로켓과 우주선을 만든 다음에도 그렇게 생각할까요?」“그땐 행성 랄로랑이와 자신들 역시 타우타이 행성계의 현상 중 하나라고 생각하지 않을까?”화면 속 둥근 다면체를 다시 본다. 모뉴먼트. 호기심 많은 문명에게 전하는 선배 ...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배운 농도 공식을 활용해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의 농도를 구해 봅시다. 농도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용질은 어떤 용액에 녹아있는 물질을 말하고 용매는 용질을 녹이는 매체를 의미합니다. 두 용액이 섞였을 때는 양이 적은 쪽이 용질이고, 많은 쪽이 용매입니다. 소금물을 예로 들어볼게요. ... ...
- [게임디자인씽킹] 런게임은 어떻게 만들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이동하는데요. 캐릭터가 장애물을 통과하면 점수가 1점씩 높아지고 장애물은 사라졌다가 다음 동작 때 그 복제본이 다시 나타납니다. 캐릭터와 장애물이 부딪히면 게임이 종료됩니다.이번 호에서는 런게임의 화면 구성과 작동 방식을 살펴봤습니다. 자세한 스크래치 코드는 아래의 QR 코드를 ... ...
- [기획] 동물도 쓴다! 사투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자신이 쓰는 언어와 비슷한 패턴의 소리에만 반응했지요. 그 다음 벌거숭이두더쥐지에게 다른 집단의 소리를 들려줬어요. 벌거숭이두더지쥐는 같은 집단의 소리가 날 땐 소리가 나는 쪽으로 움직였지만 다른 집단의 소리에는 반응하지 않았어요. 다른 집단의 냄새를 풍기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 중력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만들어지죠. 여기에 천을 덮어 씌우면 텐트가 완성돼요.보통의 건물은 기둥을 세운 다음, 그 위에다 가로 방향으로 보를 쌓아서 만들어요. 보의 누르는 힘과 기둥의 받치는 힘이 균형을 이루면 기둥 위로 건물을 쌓을 수 있죠. 텐세그리티는 보 대신 줄로도 구조물을 세울 수 있으니 건축 재료를 적게 ...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미니앨범(EP)은 8000장이 넘게 팔렸다. 좋은 시작이었다. 앨범을 판매한 돈으로 다음 앨범, 다음 앨범을 계속해서 발표해 나갔다. 낡은 승합차 한 대를 중고로 구매해 초대받지도 않은 지역 축제를 무작정 찾아다니며 거리공연을 이어 나갔다.과정을 간직하고 싶어 아는 형에게 영상을 부탁했다. 형은 ... ...
- [수학자의 연구노트] 예상치 못했던 수학자와의 만남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내가 보낸 문제가 매우 흥미로워 보이니 생각해보겠다는 답장을 보내줬다. 그리고 다음 날 그 문제의 조건 몇 가지를 자세히 묻는 메일이 또 왔다. ‘정말 생각해 볼 모양이네’ 하는 희망이 생겼다. 하지만 그 후 몇 달이 지나도록 연락이 없었다. 다른 분야에서 나온 생소한 문제에 그렇게 관심 갖고 ... ...
- [이달의 과학사] 1910년 3월 5일 즉석 라면의 발명가 안도 모모후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보관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 않을까요? 그는 밀가루로 만든 면을 뜨거운 증기로 익힌 다음 기름에 튀기고 건조해 보관하기 편하게 만들었어요. 여기에 뜨거운 물만 부으면 바로 먹을 수 있는 국수가 만들어지는 것이죠. 1958년 8월 25일, 안도 모모후쿠는 자신의 회사인 ‘닛신 식품’에서 세계 최초의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