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으)로 총 3,8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진화적으로 생존이나 번식에 밥과 달리 쓸모가 없다는 뜻으로 한 말이었다. 음악이, 단 음식을 좋아하도록 진화한 우리의 신경회로를 보다 효율적으로 자극하도록 제작된 치즈케이크 같다는 것. 그런데, 정말 그럴까. 2파트에서 확인해보자. +더 읽을거리이석원, ‘음악하는 뇌’후루야 신이치,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반복하면서 외계인이 숫자를 아는 지적 생명체인지 알 수 있다.다음은 덧셈, 뺄셈 같은 간단한 산수를 가르친다. 이때 ‘질문과 답’, ‘맞다와 틀리다’ 같은 개념도 알려줄 수 있다. 부등호로는 ‘크다와 작다’와 같은 개념 및 ‘훨씬’ 같은 비교 개념까지 알려줄 수 있다.작가는 수학으로 ... ...
- 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적도를 딱 맞게 둘러 묶으려면 이 지구의 지표면이 지금보다 얼마나 더 솟아올라야 할까?(단, 지표면은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솟아오르며, 리본을 묶는 부분의 길이는 무시한다.) 세 번째 문제 감자 튀김을 판매하는 햄버거 가게 주인이 감자 100kg을 샀는데, 감자의 수분 함유율이 99%였다.이후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생각이 없었습니다. 저는 상금으로 준비한 100억을 기부합니다. 저와 뜻을 함께 할 분은 단 돈 1000원이라도 기부해 주세요! 또 알면 이기고 모르면 지는 비이행성 주사위를 직접 만들어 보세요! 아직 누구도 발견하지 못한 수학의 독특한 성질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도전! 코드마스터] SW와 함께하는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손에 쓰여졌다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답니다. 사람이 쓴 것과 똑같았기 때문이지요. (단, ‘도전! 코드마스터’를 포함한 의 모든 콘텐츠는 사람이 쓰고 있습니다.)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의 발달은 ‘강한 인공지능’이 사람을 지배하는 시대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 일으켰어요.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고양시 삼송동에 위치한 한 아파트 단지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있었다. 실제 아파트 단지의 모형을 300분의 1로 줄인 작은 모형을 턴테이블 위에 놓고 거대한 송풍기 5대를 작동시킨다.바람이 모든 방향에서 불 때를 고려해야 하는데, 선풍기를 옮길 수는 없으니 건물 모형을 360° 회전시키는 것이다 ... ...
- Intro. 워렌 버핏도 빠졌다! 필승 주사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게임 대결을 벌여 단 한 번이라도 이기면 상금 100억 원의 행운을 거머쥘 수 있습니다. 단 게임에서 지면 재산의 50%를 내놔야 합니다. 그렇다고 치열한 두뇌 싸움을 벌이자는 게 아닙니다. 온전히 운에 맡기는 주사위 게임을 하시겠습니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워렌 버핏도 빠졌다! 필승 ... ...
- Part 1. 물고 물리는 필승 주사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A, 제가 고른 주사위는 C입니다. 서로 주사위를 바꿔 게임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단 조건이 있습니다. 동시에 같은 주사위 2개를 던지는 거예요. 즉 민준 씨는 주사위 C 2개, 전 주사위 A 2개를 50번 반복해서 던져, 눈의 합이 큰 사람이 이기는 겁니다.패배가 계속되자 민준은 주사위 자체에 뭔가 꼼수가 ... ...
- Part 1. 여기는 대한민국 탐사광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아연과 구리, 금, 은 등 금속뿐만 아니라 금속 성분들이 뭉쳐서 돌처럼 만들어진 망간단괴와 망간각 같은 광물들이 많이 묻혀 있지요. 또 인간 활동에 중요한 에너지원인 석유나 석탄이 묻혀 있기도 해요.연구팀은 피지 바다 아래 심해 열수분출공에 주목했어요. 심해 열수분출공은 깊은 바다 속에서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있는 효모를 각각 유전자 분석한 결과, 제주도의 것은 이배체인 반면 포항의 효모는 단배체였다. 강 교수는 “유전자를 분석한 뒤 매우 놀랐다”며 “이배체인 제주도 효모로 만들어진 술이 포항의 것보다 조금 더 향이 풍부했다”고 말했다. 미생물 ‘배합’이 전통누룩 성공 결정식품연에서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