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TRP-2가 작동하는 신경을 광유전학적 방법으로 활성화시킬 경우 예쁜꼬마선충이 움직이는 방향을 바꿀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앞으로 김 교수팀은 자기수용감각의 신호전달체계를 추가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 교수는 “자기수용감각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 ...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시작해 아래 방향으로 9단, 8단, 7단의 순서로 기록됐고, 수평 방향으로 행을 나누는 선을 그어 각 단을 구분했습니다.또 현재와 다르게 9×9=81, 8×9=72, 7×9=63 같은 순서로 표기했고, 특히 8×9=9×8처럼 위에서 한 번 등장한 계산은 생략하는 효율적인 표기법을 도입했습니다. ... ...
- [과학뉴스]우주여행이 코앞에? 민간 우주선, ISS 찍고 돌아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여성 마네킹이 유일한 탑승객이었지요. 우주로 나간 크루 드래건은 지구를 18바퀴 돌면서 방향과 속도를 수정했고, 3월 3일 오전 5시 51분(미국 동부 표준시),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크루 드래건은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개발한 유인 우주선이에요. 팰컨9 로켓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그러면 금속주사기와 접지전극 사이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는데, 이 전기장의 방향을 따라 주사기 노즐 끝에서 접지전극을 향해 은 입자를 쏘면 아주 얇은 실이 만들어집니다. 지름 1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길이 수m에 이르는 ‘은나노섬유’가 만들어지는 것이죠. 은나노섬유로 ... ...
- 수학으로 테러 조직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순서가 있는 셈이에요. 그럼 B와 C는 어느 쪽이 순서가 앞일까요? 이 둘은 서로 별개 방향의 꼭지이므로 순서를 비교할 수 없어요. 이처럼 순서가 있는 원소들과 순서가 없는 원소들이 섞여 있는 집합이 부분 순서 집합이죠. 테러 조직 역시 수장과 부하 조직원으로 이뤄진 부분 순서 집합으로 ... ...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따라서 피자는 제멋대로 휘게 돼요. 이때 우리가 그래왔던 것처럼 양쪽을 접어 가로 방향으로 살짝 곡률의 크기를 늘리면 피자는 빼어난 정리에 따라 가우스 곡률 0을 유지하기 위해 세로 곡률이 0이 돼요. 그래서 피자 조각을 접으면 도우가 구부러지지 않게 되는 거죠. 모양 바꾸기 쉬운 주름진 ... ...
- [과학뉴스] 사막개미를 닮은 앤트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무게는 2.3kg, 최고 속도는 초당 90cm예요. 머리 위쪽에 편광센서가 달려 있어 사막개미처럼 방향을 감지해 길을 찾을 수 있어요. 본체에선 앤트봇이 움직인 걸음 수를 측정해 시작지점에서 얼마나 떨어졌는지 파악하지요.밖에서 10개의 지점을 거쳐 14m를 이동하는 실험을 해 본 결과, 앤트봇은 10개의 ... ...
- 과학으로 독립운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이후, 김용관 선생이 발명학회에서 물러나면서 발명학회는 일본 제국주의에 협조하는 방향으로 변질됐지요. 하지만 김용관 선생의 노력은 당시 사람들에게 ‘과학’이라는 단어를 알린 계기가 됐어요. 또한, 독립 국가를 세우려는 조선의 민족주의 운동이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주목하는 새로운 ...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백조자리 방향으로 약 3340광년 떨어진 우주 공간에 있는 케플러-47 행성계는 두 개의 항성 주변을 도는 행성 ‘케플러-47b’와 ‘케플러-47c’가 존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최근 이 행성계에서 새로운 행성이 추가로 확인됐다. 제롬 오로스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천문학과 교수팀이 케플러-47의 두 ... ...
-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육각형 모양으로 벌집을 만든다. 이처럼 자연은 모두 에너지, 혹은 물질을 적게 쓰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런 현상을 보고 수학자나 과학자는 모든 공간에서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는다. 그중에서도 울렌백 교수는 비눗방울의 최소화를 연구했다.철사로 틀을 만든 뒤 비눗물에 틀을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