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쪽"(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청의 전통색과학동아 l1999년 08호
- 단장한다. 단청에는 여러 무늬가 쓰이지만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대들보 등의 부재 양쪽 끝과 기둥머리, 서까래 등의 귀퉁이에 놓은 모루초 무늬다. 이중 휘무늬에서는 단청배색의 특성이 뚜렷이 나타난다. 건물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하는 휘는 보색관게인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이 ...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이번 신작에서는 광선검이 더욱 강해진 모습으로 등장한다. 악당 다스 몰은 위아래 양쪽 방향으로 광선의 칼날이 뻗어 있는 검을 사용한다. 제다이 기사들의 광선검은 철문을 뚫고 레일건의 위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그러나 광선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과학적인 이론은 아직 없다 ...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여동생과 결혼한 그의 매제였다.숄로는 레이저를 만들기 위해선 가늘고 긴 공명상자 양쪽에 거울을 달고 그 사이에서 원자와 분자들을 들뜨게 해야(여기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숄로의 아이디어를 토대로 타운스는 1960년 레이저 시제품을 만들었다. 그러나 휴즈항공사에 근무하던 마이만(1927-)이 ...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어떤 힘이 가해진다는 말일까.물 속에 잠긴 정육면체를 생각해보자. 정육면체의 양쪽에 작용하는 물의 압력은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상쇄된다. 그러나 아랫면에는 윗면보다 더 큰 수압이 작용한다. 즉 정육면체는 위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이것이 부력이다. 위로 향한 힘은 정육면체에 작용하는 ...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과학동아 l1999년 06호
- 알려진 분자의 종류는 수천만 종류에 이른다. 그 중에서 물은 한 개의 산소 원자 양쪽에 두 개의 수소 원자가 104.5。의 각도로 결합된 비교적 간단한 모양을 가진 H2O라는 분자다. 물분자는 곧은 모양이 아니고 구부러져 있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에 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매우 독특하다.우선 물은 ... ...
- 초여름 밤하늘은 구상성단 풍년과학동아 l1999년 06호
- 5월 27일, 뱀꼬리 7월 4일●크기: 637도, 23위 (1.544%)● 별 수: 36개뱀자리는 땅꾼자리의 양쪽으로 ‘뱀머리’(Serpens Caput)와 ‘뱀꼬리’(Serpens Cauda)로 나누어져 있는 별자리다. 그리스 신화에서 뱀자리의 뱀은 땅꾼자리의 주인공인 아스클레피오스가 약초연구로 명의가 되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이 ... ...
- 진시황의 불로초는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의한 노화이론은 전기를 맞았다. 인간의 세포는 평생동안 50-1백번 분열한다. 염색체의 양쪽 끝 부분에는 염색체를 보호하는 뚜껑 구실을 하는 텔로미어라는 것이 붙어있다. 이것은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조금씩 닳아 없어진다. 텔로미어가 어느 한도 이상 짧아지면 세포는 분열을 멈추고 노화가 ...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과학동아 l1999년 03호
- 눈에도 보이지 않을 정도의 얇은 막으로 만든다면 혹시 가능한 일이 아닐까. 캐패시터는 양쪽에 전극이 있고 중간에 유전체라는 물질이 들어있다. 유전체는 전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캐패시터를 박막으로 만들 때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전극물질을 박막으로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 ...
- 대륙이 움직인다과학동아 l1999년 03호
- 마르부르크대학 도서관에서 책을 보던 베게너는 매우 흥미로운 논문을 발견했다. 대서양 양쪽에서 발견된 동식물 화석이 비슷하다는 논문이었다. 왜 그럴까. 혹시 아프리카대륙과 남아메리카대륙이 붙어 있었던 것은 아닐까. 그는 찢어진 신문을 다시 짜맞추듯, 두 대륙의 지도를 찢어 맞춰보며 ... ...
- ④ 과학교육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우리말과 다른 고유어를 쓰기도 한다. 뜨다(느리다), 늘구다(늘이다), 닭알(달걀), 양켠(양쪽), 힘재개(저울), 밀차(수레), 쇠알(쇠구슬), 마사지다(부서지다), 헐하다(쉽다), 오또기(오뚜기), 끓음점(끓는점,비등점) 등이다.비록 북한의 과학용어는 우리가 사용하는 말과 다를지라도 조금만 주의깊게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