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과학"(으)로 총 3,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대전광역시 대덕 연구단지 내에 위치한 국내 유일의 위성 개발 전문기업 쎄트렉아이. 회사 건물 앞에 도착하자 버선발로 마중 나온 박성동 대표가 보인다. 그는 사무실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위성 개발 현장으로 안내한다. “1m급 해상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소형 지구관측 위성 ‘데이모스 2호 ...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피터팬 이놈! 이번에야말로 가만 두지 않겠다!”“하긴…, 안 가본 데가 없으니 지루하긴 해~. 그래서 뭐, 뾰족한 수라도 있냐?”“잠깐만 후크! 매일 이렇게 똑같은 곳에서 싸우는 것도 지겹지 않냐? 우리가 네버랜드에서 싸우기 시작한 지도 벌써 111년이나 됐잖아?”“인간 세상으로 여행을 떠난 ...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요즘 사춘기 청소년들이 무슨 사고를 치거나 특이한 일을 했다 하면 따라나오는 말이 있다.바로 ‘중2병’이다. 북한도 무서워서 쳐들어오지 못하게 한다는 중2병의 정체를 밝혀보자.고백부터 하자. 기자도 10대 시절 중2병에 걸린 적이 있었다. 갓 중학생이 된 주제에 어디서 주워들었는지 도스토예 ... ...
- 보이저 1호, 태양권 탈출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보이저 1호가 인류 역사상 최초로 태양권을 탈출했다.도날드 거넷 미국 아이오와대 교수팀은 보이저 1호가 태양권계면을 약 1년 전에 통과했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9월 12일자에 발표했다. 보이저 프로젝트 책임자인 에드 스톤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도 미항공우주국(NASA) 홈페이지를 통해 “ ... ...
- “이젠 이사할 때 과학동아부터 챙깁니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과학동아요? 저한테는 오래된 친구지요.”강영호 교감과 과학동아는 ‘동기동창’이다. 그가 교단에 처음 선 것이 과학동아가 창간한 해인 1986년으로 입사동기이기 때문이다. 강 교감은 첫 발령을 받고 ‘재미있는 과학 수업을 어떻게 할까?’하는 고민을 하다 과학동아를 찾았다.“과거 교과서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지구 생물 역사에서, 중생대의 육상은 상당히 특이하다. 땅 위에서 눈에 띄는 대형 척추동물은 거의 대부분 공룡이었기 때문이다. 만약 사람이 이 시대를 방문했다고 해보자. 대한민국에서 아무나 붙잡고 성을 물으면 거의 다 김, 이, 박 세 성 중 하나인 것처럼, 당시 육상 대형 척추동물은 만났다 ... ...
- 과학동아가 선정한 이달의 책 - 쉡게 줄 수 있으면 난제가 아니지!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용의자 X의 헌신’이라는 소설과 영화가 유행하던 때, 과학동아에도 ‘용의자 X의 수학’이라는 기사가 실렸다(2013년 2월). 수학의 난제를 소재로 한 작품이었기에 이 기회에 수학 난제의 역사를 소개하고 대표적인 난제를 모아본 글이었다. 이 때 디자인이 끝난 기사를 보며 편집부에서 기자들이 ... ...
- [체험] 유신고등학교 수학동아리 MAX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어려운 수학 시험을 치고 8:1의 경쟁률을 뚫어야 들어갈 수 있는 동아리가 있다!바로 수원 유신고의 수학동아리 MAX다. 이처럼 뜨거운 인기의 비결은 무엇일까?동아리 선배들의 화려한 수학올림피아드 수상 실적부터 신나는 수학 축제까지, 공부와 체험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 MAX를 ... ...
- 현존하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수학자를 대상으로 20세기 최고의 수학자를 몇 꼽으라면, 아마도 가장 많이 나올 이름 중에 장 피에르 세르가 있을 것이 분명하다. 1954년 27세의 나이로 필즈상을 수상해 지금도 최연소 필즈상 수상자 기록을 갖고 있고, 2003년 그의 나이 76세에는 백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하는 아벨상을 받기도 했다. ... ...
- 마취 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서양의학에서 외과와 내과는 전혀 다른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전통적으로 내과가 대학에서 신학이나 철학과 더불어 가르쳤던 학술적 의학이었다면, 외과는 생생한 삶의 현장에서 상처를 꿰매고 상한 이를 뽑는 등 실무 중심의 기술이었다. 외과의(chirurgien, chirurgen, surgeon)라는 말도 ‘손’을 뜻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