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d라이브러리
"
인체
"(으)로 총 2,11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의대 공윤 교수는 “우리 몸에 큰 해가 없는 기생충에 인슐린 유전자를 삽입한 뒤
인체
에 감염시키면 몸 안에서 계속 인슐린을 분비할 것”이라며 ‘인슐린 기생충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밝혔다.기생충은 결코 필요없는 존재가 아니다. 기생충은 생태계의 균형을 조절한다. 지금은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세포로 이뤄져 있고, 그 분자들이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생명을 유지하고 있는 우리
인체
도 결국 초분자다.초분자를 처음 인공적으로 합성하고 새로운 학문분야로 정립한 사람은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 장 마리 렌 교수. 그는 이 업적을 인정받아 1987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그 후 1990년대 들어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201576 지능형 특별기능로봇 보급 201677 분산발전과 대규모발전용 태양전지 실용화 201778
인체
이상부위 물리적 회복시스템 개발 201979 노인성 질환 치료와 예방기술 개발 201680 고효율 초저가 박막 태양전지 보급 201381 마이크로 플라즈마 의료기기 개발 201682 오염물질 실시간 자동분석 기술 실용화 201483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테스트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가장 빨리 할 수 있는 연구이며 복제된 줄기세포를
인체
에 넣어 신경 기능을 재생하는 치료기술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영국 정부가 이 연구에 대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라고 전했다.이에 대해 황 교수는 “공동 연구에 대해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유전자 외에도 음식이나 환경 같은 외부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되고 있다.최근
인체
의 모든 세포로 분화 가능한 줄기세포가 탈모증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왔다. 지난해 미국 록펠러대와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팀은 피부 줄기세포를 이용해 머리카락을 자라게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폭탄을 지니고 공항의 보안 검색대를 통과하면 ‘삐~삐~’ 소리조차 나지 않는다. X선이
인체
에 해롭기 때문에 사람에게는 금속탐지만 시행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T선은 안전해서 사람과 화물 모두 조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금속물, 마약, 플라스틱 폭탄 등 최근 문제가 되는 모든 검색 대상을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정교한 입체영상 정보를 기록하는 펄스 레이저 홀로그램은
인체
사진뿐만 아니라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다. 어떤 물체를 홀로그램으로 찍어 원판필름에 입체 정보를 기록해둔 다음 물체가 변형된 후 다시 홀로그램을 찍어 입체 정보를 비교해 변형된 ... ...
컴퓨터, 유해물질에 로그인!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김병훈 박사는 올해 1월 국제 환경전문저널(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국내 최초로
인체
혈액 중에 있는 브롬 난연제 성분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김 박사는 포항공대와 공동으로 국내 수도권 폐기물 소각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와 인근 주민들의 혈액을 채취해 브롬 난연제 농도를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영양소와 유전자 간 상호작용은 매우 복잡하고 양방향으로 이뤄진다. 이것이 바로 모든
인체
가 동일한 식이요법에 같은 효과로 반응하지 않는 이유다.북유럽계 민족은 우유를 비교적 잘 소화시키지만 동북아시아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포유류 동물과 동북아시아인은 젖을 ... ...
세균 사탕발림에 놀아난 면역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내장에는 대략 1000조개의 박테리아가 살고 있다. 이들은 어떻게
인체
의 면역계를 자극하지 않고 함께 살 수 있을까. ‘면역 역설’로 불리는 이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결과가 최근 나왔다. 미국 하버드의대 로리 콤스탁 교수팀은 미생물이 숙주에서 얻은 당분자로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숙주와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