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둥이
구강
아가리
입아귀
구멍
의치
가치
d라이브러리
"
입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샤크 만에서 ‘남방큰돌고래’떼를 관찰하다가 신기한 것을 발견했어요. 일부 돌고래가
입
에 천연 해면 스펀지를 물고 헤엄치는 모습이었지요. 수영하다가 바위에 부딪히거나 뾰족한 조개껍데기가 파도에 날아와도 다치지 않기 위해서지요.도구를 사용하다니 정말 영리하구나! 사람과 닮은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끝맺었다.“발병의 원인을 모른다는 건, 누구나 루게릭병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뜻
입
니다. 우리 모두가 조금만이라도 그들의 투병생활에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합니다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팔의 진동을 이용해 측정하는 시간까지. 과학자만의 상상력이 돋보였다. 가장 압권은
입
으로 직접 물의 양을 맞추는 장면이었다.점점 서로가 친숙하게 느껴졌다. 예술과 과학 모두 아무도 가보지 않은 영역을 탐색하는 외로운 여정이라는 점에서 동료이자 친구였다.이제 시작일 뿐시간적, 지리적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모든 관성계가 동일하다는 상대성이론의 가정이 떠오르지 않는가? 결국 관측자의
입
장에서 본다면 두 개의 우주가 존재해야 한다. 우주는 전체적으로 유니타리 진행할 뿐이다. 이 과정은 슈뢰딩거 방정식으로 완벽하게 기술된다. 붕괴니 확률이니 하는 따위는 모두 관측자라는 부수적인 존재가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해적’에서는 거대한 소용돌이를 만드는 데 쓰였고, ‘해리포터와 불의 잔’에서는 용의
입
에서 나오는 불을 표현할 때 활용됐죠. 최근에는 영화뿐만 아니라 자기공명영상장치(MRI) 같은 의료 영상이나 날씨 예측 등의 다양한 분야에 쓰이고 있어요.이렇게 다양한 분야에 교수님 연구를 응용할 ... ...
Wild Life 자연의 강렬함을 마주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무리다. 트림을 하기 위해 잠시 멈출 때를 제외하고는 아주 민첩한 손놀림으로 풀을 뜯어
입
으로 가져가고 있다.©Greg du Toit/Wildlife Exhibition Korea카리스마가 뚝뚝피도 눈물도 없는 냉혹한 킬러가 적의 심장을 노려보고 있는 듯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웨스트 코스트 국립공원의 ... ...
햄버거 한
입
에 보노보는 눈물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햄버거나 팝콘에 넣는 야자유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보노보 같은 유인원의 서식지가 심각하게 파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존무어대 연구팀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열대우림을 조사해 이 사실을 밝히고 ‘커런트바이올로지’ 7월 10일자에 발표했다.야자유는 음식뿐 아니라 비누와 화장품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들어가는 얼음을 우유와 혼합해서 만든 뒤, 팥을 아주 곱게 갈아 섞어 얼렸다. 곱게 간 팥
입
자가 얼음 알갱이가 결정을 만들며 커지는 것을 막는다. 그래서 공장에서 마트까지 꽤나 오랜 시간 유통됐음에도 단단하게 굳어있지 않고 숟가락이 부드럽게 들어간다. 무슨 제품인지는 비밀이다(:D). 독자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윤을 창출하는 학문이야. 가장 큰 차이는 바로 경제성이지. 우린 늘 ‘효율’을
입
에 달고 산다고!Q&A 석유가 고갈되면 화공도 끝 아닌가요?걱정 마. 최소한 우리가 죽을 때까지는 절대 석유가 고갈될 일이 없을거니깐~. 미래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셰일가스와 셰일오일도 우리 화공의 전문 분야지. ... ...
심장이 예뻐 보일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학회 때문에 다른 도시에 갔을 때 풍경과 사람들을 찍다가, 최근 들어 정물 사진에 몰
입
했다. 사진계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한 건 5년 정도다.길랏 박사는 “과학과 예술은 혁신과 자유가 핵심이라는 점에서 매우 비슷하다”며,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이 공통점을 잘 보여주는데, 나도 양쪽을 마음껏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