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속
저승
땅굴
터널
지하도
바다속
지하상가
d라이브러리
"
지하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는 베어서 써야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뿌리로부터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지상부인 줄기와 가지의 생장이 촉진됨은 물론이고
지하
부인 뿌리의 생장도 왕성해져서 더 많은 잔뿌리들이 자라게 된다. 뿌리 발달이 촉진되면 흙 알갱이를 붙잡는 힘(토양견지력)은 더욱 세어지게 마련이다. 임업연구원의 연구 결과에도 간벌한 숲이 간벌하지 ... ...
전갈은 자살 못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이온채널'이 있다. 나트륨이나 칼륨 같은 이온들은 보통 때 세 포막을 통과하지 못
지하
만, 이온채널이 열리면 이들이 통과하면서 이를 도화선으로 신경자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신호는 근육수축까지 연결된다. 전갈의 독은 이 '이온채널'과 결합해 기능을 교란하기 때문에 독성이 발휘되는 ... ...
수돗물 불소화는 꼭 필요하고 안전하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다. 그런 반면에
지하
수의 불소농도는 다소 높다. 우리나라에서도 1백50m보다 더 깊은
지하
수에 서는 불소의 농도가 높은 경우가 많다.무엇보다도 우리가 섭취하고 있는 동식물에도 이미 불소가 함유돼 있다. 식물에 불소가 함유돼 있는 이유는 땅에 불소가 있다는 증거이다. 불소를 함유하고 있는 ... ...
세계각국의 영상 정찰위성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쓰지 않았기 때문으로 알려진다. 이 밖에도 6-7세대 위성과 세계 전역의 해군시설 등을 탐
지하
는 원자력 RORSAT 프로그램이 있다. 프랑스의 헬리오스 위성프랑스는 1985년부터 상업용 지구관측위성인 스폿에 기초해 군사정찰위성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스타워스에 대비하기 위해 러시아가 ... ...
석유는 동물 유해에서 생긴 것일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지각 내부로 상승하는 동안 분해, 중합, 첨가반응을 반복하면서 고급탄화수소인 석유로
지하
의 일정한 부분에 축적됐다는 것.석유가 지구 내부에서 생성된다는 설을 최초로 수립한 사람은 러시아 화학자 멘델레예프(1834-1907)다. 그는 노벨과 함께 한때 석유를 연구했다. 그리고 지구 심층부에 있는 ... ...
인간과 더불어 산 얼음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이런 식으로 얽히고 설켜 물은 액체로 있을 때보다 얼음이 될 때 공간을 더 많이 차
지하
게 돼 부피가 커지고 밀도가 낮아진다.액체보다 고체의 밀도가 낮은 것은 모든 물질 중에서 물이 거의 유일하다. 만일 얼음의 밀도가 물보다 컸다면 얼음은 호수 바닥으로 가라앉고 연이어 수면에서 얼음이 ... ...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핵실험 대체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페나는 “현재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으며, 이 결과로부터
지하
핵실험을 하지 않고도 핵무기 속의 물질들이 어떤 변화를 겪는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로스알라모스의 대변인인 미카엘 번스에 따르면, 컴퓨터는 핵무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 ...
5. 솔리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에너지를 잃고 소멸한다.그런데 분산효과에도 불구하고 솔리톤이 일정하게 모양을 유
지하
는 까닭은 무엇일까. 그것은 비선형효과 때문이다. 비선형효과의 의해 파의 속력은 파의 높이(파고)에 따라 달라진다. 즉 수면파가 진행할 때 파고의 높은 부분이 낮은 부분보다 빨리 진행하게 된다.이러한 ... ...
DNA는 생물 블랙박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이어진다. 그래서 모든 동물은 긴 세월 동안 인슐린의 구조와 기능을 철저히 유
지하
고 보존해 왔다.그러나 인슐린의 구조는 오랜시간 동안 매우 서서히 변해왔다. 그러므로 인슐린의 구조적인 차이는 동물간의 관계와 그 변천과정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인슐린의 1차구조를 비교해 보면 사람은 ... ...
가상현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스튜디오와 같은 곳에서는 계곡들 사이를 비행하고, 환상적인 우주공간과 용암이 들끓는
지하
세계를 여행하는 등 현실에서 체험하기 힘든 경험을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해 제공하고 있다.KAIST 가상현실연구실은 국내에선 처음으로 1991년부터 원광연 교수를 주축으로 미래의 핵심기술이 될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