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처음 채집된 종을 보고하는 거예요. 지금까지 해마를 포함해 총 7종을 세계 최초로 보고했고,ㅡ19종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했지요.어시장 돌아보며 새로운 종 찾아요! - 명세훈새로운 종을 찾는 가장 흔한 방법은 어시장에 가는 거예요. 연구자가 어시장에 간다니 재밌죠? 상인은 흔한 ... ...
- [과학뉴스] 최초의 태양 탐사선 파커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최초의 태양 탐사선 파커 발사! 프로젝트명 ‘태양을 만져라(Touch the Sun)’! 표면 온도가 5500℃에 달하는 태양을 탐사하는 프로젝트가 본격 시작됐어요.지난 8월 12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플로리다 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태양 탐사선 ‘파커’를 발사했어요. 파커는 11월쯤 태양 궤도에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답니다. 꽁꽁! 지하 46m 깊이에 종자를 보관하는 시드볼트세계 최초의 야생식물 종자 보관소 시드볼트 탐사도 특별한 경험이었어요. 시드볼트는 아시아 최대규모의 야생식물 종자보관소로, 현재 3203종 4만 6675점의 종자가 보관돼 있어요. 지하 46m 깊이의 시드볼트 터널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퀴리의 이름을 따 ‘퀴리’라는 이름이 붙었지요. 퀴리 케이블은 일반 기업이 설치하는 최초의 대륙 간 케이블이에요. 원래 해저 케이블은 각 나라의 통신 회사가 설치를 담당해 왔어요. 하지만 최근 동영상과 사진 등의 데이터양이 늘어나면서 이를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전송하기 위해 구글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거대 로봇 대결 창시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한이 강연장으로 들어왔어요.맷 올레인은 2017년 일본 거대로봇 ‘쿠라타스’와 세계 최초로 거대로봇 전투 대회를 연 것으로 유명해요. 키 4.5m, 무게 5.5톤의 아이언 글로리와 키 4.9m, 무게 13.6톤의 이글 프라임을 타고 전투에 출전해 각각 1패와 1승을 기록했지요. 맷 올레인은 “사람들이 어릴 적 갖고 ... ...
- [과학뉴스] 굿바이! 소행성 탐사선 ‘돈(Dawn)’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탐사의 새벽을 열었던 인류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 ‘돈(Dawn)’이 영원한 작별을 고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돈이 연료 고갈로 10월 31일과 11월 1일에 예정됐던 교신을 하지 못했다고 11월 2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2007년 9월 발사된 돈은 11년 동안 소행성을 탐사했다. 돈이 항해한 거리는 총 6 ... ...
- [과학뉴스] 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에어로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하이 즈엉 싱가포르국립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에어로겔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페트(PET)병 소재로 미세섬유를 만든 뒤 이를 실리카로 코팅해 에어로겔을 만들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플라스틱 병 하나를 재활용해 A4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2009년 5월 골디락스 영역에서 최초로 발견한 ‘케플러-22b’는 지구로부터 약 600광년 떨어져 있는 항성인 ‘케플러-22’를 290일 주기로 공전하는 행성이다. 이 행성은 지구보다 2.4배 크고, 36배 무거우며, 표면 온도는 약 15.5도로 따뜻한 것으로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참석하며, 4년마다 프랑스 파리 근교에서 개최된다. 미터협약은 1875년 제정된 세계 최초의 국제조약으로, 이를 토대로 1889년 길이의 자인 ‘국제미터원기’와 질량의 자인 ‘국제킬로그램원기’가 제작됐다. 이날 총회에서는 국제단위계(SI)의 기본단위 7개 중 킬로그램, 암페어, 켈빈, 몰 등 4개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난 것이다. 라이트 형제는 새가 날개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비행한다는 사실을 포착해 최초의 동력 비행기를 제작했다. 지금도 새는 여전히 항공기의 역할모델이다. 적은 연료로 효율적으로 나는 방법은 어떤 첨단 항공기도 새에 못 미치고 있다. 특히 새는 순간적인 상황에 따라 깃털을 부위별로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