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제조
가공
형성
생산
뉴스
"
생성
"(으)로 총 3,53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컷 쥐 세포로 난자 만들어 아기 쥐 탄생…난임 치료 새 길 열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제공 일본 연구진이 수컷 생쥐의 피부 세포에서 난자를
생성
해 생물학적 아버지가 두 명인 생쥐를 탄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수컷 세포로 포유류 난모 세포를 만든 최초의 연구로 동성 커플이 부모가 되거나 난임 치료의 새 길을 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하야시 카츠히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합리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어떤 식으로든 들어오는 정보의 양을 줄인다면 특정 감정의
생성
을 막거나 세기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불안 같은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명상이 효과가 큰 것도 이런 작용의 결과 아닐까. 바른 자세로 안정된 호흡을 하면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돼 심박수가 떨어지고 ... ...
메타버스 대중화 AI반도체 나왔다...GPU 대비 911배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격자 단위의 값을 뜻한다. 메타브레인은 100 FPS(초당 나타내는 사진수) 정도의 이미지
생성
속도를 냈다. 이는 기존 GPU보다 약 911배 빠른 속도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1개 이미지 처리당 소모에너지 역시 GPU 대비 2만6400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메타브레인은 기존에 막대한 비용이 ... ...
상온에서 3개월 보관 세계 첫 결핵 백신..."1차 임상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시점에 수집했다. 샘플들을 분석한 결과, 두 백신 모두 높은 수준의 항체와 면역세포
생성
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온 보관 처리를 한 백신의 효과가 처리를 하지 않은 백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임상에서 백신이 안전하고 효과가 있다는 점을 입증했다”며 ... ...
세계 최고 안정도 6G 테라헤르츠파
생성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김승우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김영진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신동철 KAIST 기계공학과 연구원. KAIST 제공 6세대(6G) 통신 기기 간 주파수 표준으로 이용될 수 있 ...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11일 게재됐다. 광 시간 표준 기반 초안정 테라헤르츠파
생성
기술의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 KAIST ... ...
산호 살리는 차세대 자외선 차단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쓰이던 성분인 아보벤존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다양한 고리 모양의 분자를 무작위로
생성
한 후 고리 모양의 분자를 서로 다른 조합으로 연결해 자외선을 흡수하는 고분자 후보군을 만들어 이 중 최적의 후보를 선정했다. 연구팀이 쥐를 대상으로 개발한 시제품을 실험한 결과 옥시벤존, ... ...
자신 몸무게 300배 오줌 뿜는 곤충..."에너지 소비 전략 수립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3.01
수퍼 프로펄젼 현상을 이용해 오줌 방울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제트 기류
생성
과 같이 매미과 동물에서 볼 수 있는 오줌 배출 방법과는 또 다르다”고 설명했다. 샤프슈터가 먹는 먹이 중 95%가 물이다. 먹는 만큼 배출한다. 하루 배출하는 양이 몸무게의 300배에 달하는 양이다. ... ...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내구성 3배 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내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리튬메탈 전지는 약 100회 충방전에 결정 돌기가
생성
됐지만 개발한 리튬메탈 전지는 300회 충방전에도 안정적 성능을 보였다. 이 센터장은 “구리 대비 탄소섬유의 밀도가 5배 낮고 가격도 저렴하다”며 “이번 연구는 내구성이 높은 리튬메탈 전지 상용화를 ... ...
뇌 신경 모방한 다진법 구현 반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전달하듯 병렬 구조의 이산화바나듐에서 열, 전기 등 외부자극에 의한 금속-절연체 상의
생성
비율이 달라지는 점을 활용해 시냅스의 연결 강도를 구현했다. 이를 통해 0과 1의 이진법 기반의 컴퓨팅이 아닌 여러 가지의 저항 상태를 표현·저장할 수 있는 스위칭 메모리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RNA 합성에서 합성 종결 인자 '멈춤의 역할'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발현 조절에 미치는 생물학적 기능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DNA에서 RNA를
생성
하는 과정을 마무리 짓는 전사종결인자인 단백질 로(Rho)는 중합효소가 오래 멈출수록 종결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에는 단백질 로가 RNA에 붙어 중합효소에 미리 붙어 기다렸다가 끝내는 방식이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